골프와 인공지능의 융합이 골프 산업에 미칠 영향을 다룬다. 다양한 사례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미래의 골프 산업을 조망한다. 2022년 등장한 생성형 인공지능은 기존의 연구용 도구에서 벗어나 대중적으로 상용화되었고, 이제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AI는 골프장 설계와 관리, 골프용품 개발, 그리고 골프 경기 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AI를 활용한 골프장 설계는 자연 친화적이고 효율적인 코스를 제공하며, 골프용품 업계에서는 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골프 클럽과 웨어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AI는 골프 경기의 분석과 예측, 선수의 퍼포먼스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책은 또한 AI가 골프 교육과 트레이닝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경기의 중계와 관람 방식의 변화, 골프 캐디와 레프리 역할의 변화를 소개한다. 골프와 인공지능의 융합이 스포츠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골프인들이 어떤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정경수
전북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빙교수다. 전북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골프협회 레프리, 한국골프학회 상임이사,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 인사위원, 전주시체육회 이사 및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북골프협회 사무국장을 맡았다(2014∼2020).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골프 캐디 능력 중요도 분석”(2023), “프로골프갤러리의 관람동기요인 우선순위 분석”(2020) 등 다수의 논문을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했다.
문병량
예원예술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교수다.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체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원예술대학교 대학원장, 한국체육학회 부회장, 대한체육회 교육위원,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 이사, 전북육상연맹 스포츠공정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8대 한국골프학회 회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부회장, 올림픽성화회 기획이사, 전북교육감인수위원회 체육전문위원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 『골프 이해와 경영』(2022), 『골프 기초(2005)』가 있으며, “한국남자투어프로의 다운스윙 시 COM, COP 특성”(2022) 등 50편 이상의 논문을 KCI, SCI 등의 등재학술지에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