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가 왜 필요할까? 우리 삶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정치뉴스는 밥상, 대중교통, 영화 관람료, 일자리, 집값, 교육 기회, 대기 질에 대해 알려 준다. 대통령과 국회 이야기만 정치뉴스가 아니다. 정치뉴스가 이렇게 다채롭고 중요하지만, 즐겨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내용이 복잡해 이해하기 어렵고, 특정 정치인들과 정당의 다툼에만 집중하고, 사실 확인 없이 전달만 하는 뉴스에 지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상 돌아가는 일’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다시 정치뉴스에 시선을 고정해야 한다. 이 책은 정치뉴스가 무엇인지, 무엇이어야 하는지부터 다시 묻는다.
정치, 사회, 세상을 읽는 법
종이 신문을 구독해 정치뉴스를 읽는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전통적인 방식의 정치뉴스 생산과 소비는 이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제 정치뉴스는 신문과 방송뿐만 아니라 포털, 소셜미디어, 숏폼에서 만들어지고 확산된다. SNS의 ‘좋아요’와 ‘공유’도 뉴스 소비의 한 방식이 됐다. 오늘 나의 소비 행동은 알고리즘을 매개로 내일 나의 뉴스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치뉴스를 잘 읽기 위해 달라지는 뉴스 플랫폼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정치뉴스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디에서 어떻게 유통되는지 아는 데서 읽기가 시작된다.
정치, 사회, 세상에 참여하는 시민이 되는 법
정치뉴스를 통해 정치, 사회,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읽었다면, 다음은 쓰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참여’라 할 수 있다. 뉴스 소비자의 참여는 ‘좋은 정치뉴스’, 더 나아가 ‘좋은 정치’를 만든다. 뉴스와 정치 환경의 변화로 참여의 기회가 크게 늘었다. 더 이상 뉴스 소비자와 생산자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별히 이 책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해 쓰였다. 투표권을 행사하기 시작한 젊은 시민들에게 정치뉴스의 이모저모를 일목요연하게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 정치뉴스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책을 넘어서기 위해, 각 장의 시작에는 구체적인 사례를 다루는 대화를, 끝에는 활용과 참여를 돕는 질문과 과제를 배치했다. 각종 교과, 활동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김경희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한국언론학회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에서 대통령 선거 조사·국민 의식 조사 등 여론조사 보도를 담당했으며, 뉴스속보부에서 인터넷 뉴스를 기획·편집했다. 저서로는 『젠더와 미디어 경험: 뉴스, 게임, 커뮤니티, 리터러시』(기획, 2023), 『디지털 뉴스 소비자: 시민기자부터 슬로 미디어까지』(편저, 2020),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 싸이월드에서 배틀그라운드까지』(편저, 2018), 『뉴스 안과 밖의 여성』(2017) 등이 있으며, “한국 언론의 저널리즘 가치 연구”(2023), “The Differential Consequences of Fear, Anger, and Depression in Response to COVID-19 in South Korea”(202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김아미
독립연구자다. 서울대학교에서 불어교육학을 전공하고 언론정보학을 부전공했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교육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육학연구대학(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서울대학교 빅데이터 혁신공유대학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다. 저서로는 『온라인의 우리 아이들』(202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2015), 『젠더와 미디어 경험: 뉴스, 게임, 커뮤니티, 리터러시』(기획, 2023), 『Learning to live with datafication』(공저,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미디어 교육 선언』(공역, 2019)이 있다. 연구 주제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성, 아동 주도 문화연구 방법론 등이다.
심재웅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혐오 이론 2』(공저, 2023),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2020), 역서로는 『디지털 디바이드』(2018) 등이 있다. 현재 디지털 격차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그리고 인터넷 심리학을 기반으로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반사회적 행동의 원인과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이숙정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인터넷 이용의 사회자본 효과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미디어 이용과 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어린이 미디어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와 시민 참여 등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부모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2022), 『미디어 교육 선언』(공역, 2019),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2018) 등이 있다.
이재길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 간 협력을 향상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연구한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공학과 심리학 복수 학사 학위를 받고, 학제 간 융합을 지향하는 인터랙션사이언스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과 초빙교수, 인터랙션사이언스연구소 연구교수,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방문연구원을 거치며 미디어 기술과 사용자의 심리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들은 ≪Computers in Human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ᐨComputer Interaction≫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국제적인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고 있다.
정일권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학진 등재지 ≪정보사회와 미디어≫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지능 정보사회의 이해』(공저, 2021),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2018), 『정치적 소통과 SNS』(공저, 2012),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 토크, 플레이, 러브의 진화』(공저, 2011) 등이 있다. 7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미디어와 여론,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다.
진소연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후기청소년의 민주시민 의식 향상을 위한 뉴스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이용자의 올바른 미디어 이용 역량 강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전문위원으로도 활동하며,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를 조사하고 정책적 함의 등을 제안하는 과업을 수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