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바다, 인문학으로 항해하다

· ·
· 산지니
Sách điện tử
288
Trang

Giới thiệu về sách điện tử này

근현대 동북아해역, 인문네트워크의 장이 되다


분단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바다는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다. 역사를 돌아보면 바다를 알지 못했을 때, 혹은 바다를 지키지 못했을 때 우리는 위기에 처했다. 역사적으로 동북아해역에서는 사람과 물자의 역동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고, 때로는 서구 열강의 각축장이 펼쳐지기도 했다.


‘부경대학교 해역인문학 시민강좌 총서’ 두 번째 시리즈 『동북아 바다, 인문학으로 항해하다』에서는 근현대 시기 동북아 해역에서 일어난, 지식과 사람 그리고 문화의 교류 양상을 인문네트워크의 개념으로 들여다본다. 이 책을 통해 기존의 육지 중심의 사고에서 더 나아가 해역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인문학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Giới thiệu tác giả

저 : 서광덕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동아시아 근대성과 魯迅 : 일본의 魯迅 연구를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전문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중국문학)로 지낸 바 있다. 지은 책으로는 『중국 현대문학과의 만남』(공저, 2006)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루쉰』(2003), 『일본과 아시아』(공저, 2004), 『중국의 충격』(공저, 2009), 『수사라는 사상』(공저, 2013),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저, 2016) 등이 있다.


저 : 김윤미

1980년 출생. 부경대학교 사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일제시기 일본인의 ‘釜山日報’ 경영』(공저, 2013) 등이 있고, 역서로는 『조선표류일기』(공역, 2020)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조선군 임시병참사령부’의 부산 숙영 시행과 지역변화」(2018), 「일본 니가타[新瀉]항을 통해 본 ‘제국’의 환동해 교통망」(2019), 「조선과 러시아의 환동해 접경해역을 둘러싼 갈등」(2020)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조세현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석사과정을 마치고 북경사범대학 역사과에서 중국근현대 정치사상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淸末民初無政府派的文化思想』(中國,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年),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교류와 연대』(창비, 2010년), 『부산화교의 역사』(산지니, 2013년), 『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일조각, 2016년) 등이 있다. 동아시아 근대 사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아시아 해양사를 공부하고 있다.


저 : 채영희

우리말 활용론으로 학위를 받은 후 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융합하는 실험을 했다. 늘 연구보다 학습자를 위한 신나고 재미있는 교육 매체를 제작하는 일에 몰두하다. 1999년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발음’을 시작으로 2008년 닌텐도와 손잡고 ‘배용준 한국어 초급’으로 일본 게임시장에 한국어를 처음 선보였으며 이후 2009년 ‘배용준 한국어 중급 · 고급’의 한국어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책임을 맡았다. 한국어 앱 어플로 만들어 온누리에 한국어 알리는 일에도 매진했었다.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궁리를 하고 있으며 현재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의미론과 스토리텔링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다.


저 : 공미희

1969년 출생.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대학원 석사·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동북아 해역과 인문네트워크』(공저, 2018), 『동북아 해역 인문네트 워크의 근대적 계기와 기반』(공저, 2019)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일본 근대화의 계기가 된 데지마를 통한 초량왜관 고찰」, 「A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Japanese Fusion Cuisine Created rough Cross-cultural Exchanges with the West in Port Cities」, 「개항기 제 1차 수신사의 신문물 접촉양상과 근대화와의 관계 분석」, 「근대 부산 조선산업의 전개양상과 실태분석」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이보고

중국 칭화대학교 대학원 중국언어문학과 문학박사, 현재 부경대학교 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수이다.


저 : 최민경

1983년 출생.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 후, 동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석사과정, 일본 히도쓰바시대학(一橋大學)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역서로는 『일본 생활세계의 동요와 공공적 실천』(공저, 2014), 『일본형 매혹도시를 만들다』(역서, 2007)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규슈지역 재일한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전개후쿠오카를 중심으로」(공저, 2019), 「근대 동북아 해역의 이주 현상에 대한 미시적 접근부관연락선을 중심으로」(2020)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안승웅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외래강사. 부산대학 중문과 학사과정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上海復旦大學에서 《沈從文小說硏究》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역서로는 『바다가 어떻게 문화가 되는가』(공역), 『서유기 81난 연구』(공역)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쉽게 이해하는 중국문화』(공저), 『시진핑 시대, 중국 종교정책과 신종교사무조례』(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沈從文과 靑島의 해양문화」, 「무협영화로 ‘동사서독’읽기-강호를 벗어난 협의 사랑과 고독」, 「반부패소설 『창랑지수』를 통해 본 중국과 중국 지식인」, 「沈從文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沈從文 소설의 화자 연구」 등이 있다.


저 : 양민호

1972년 출생. 전주대학교 일어교육과 졸업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도쿄(東京)외국어대학 석사 과정을 거쳐 도호쿠(東北)대학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저서로는 『소통과 불통의 한일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18), 일본에서 출판된 『일본어 어휘로의 어프로치』(공저, 2015), 『외래어 연구의 신전개』(공저, 2012) 등이 있고, 역서로는 『경제언어학-언어, 방언, 경어』(공역, 2015), 『3·11 쓰나미로 무엇이 일어났는가피해조사와 감재전략』(공역, 2013), 『동북아 해역과 인문네트워크』(공저, 2019)가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립국어원 공공용어 번역 표준화 위원회 일본어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 : 곽수경

1965년 출생.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베이징사범대학교(北京師範大學)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청산도 사람들의 삶과 문화』(공저, 2019)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중국의 해양강국 전략과 중화주의도서 분쟁과 해양실크로드를 중심으로」(2018), 「개항도시의 근대문화 유입과 형성부산과 상하이의 영화를 중심으로」(2019), 「개항장의 대중문화 유입과 전개목포의 트로트 유입과 흥성원인을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 : 김문기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현재 한국해양수산아카이브센터장. 하동에서 태어나 20대부터 부산에서 지냈다. 부산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수료를 마치고, 부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빙기(Little Ice Age)라는 기후변동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을 연구했으며, 현재는 박물학과 해양어류지식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는 『여섯 빛깔 해양사』(산지니, 2019), 『바다를 읽다: 바다와 인류문화의 관계사』(국립해양박물관, 2016), 『19세기 동북아 4개국의 도서분쟁과 해양경계』(동북아역사재단, 2008), 『한국지식지형도 동양사1』(책세상, 2007) 등이 있다.


저 : 정해조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제지역연구학회 회장, 한국유럽학회 회장, 부경대 글로벌지역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문학박사와 공학박사를 취득하여 학제적·융합적 연구에 관심이 많으며, 글로벌시대 지역학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 『독일에너지정책과 패시브하우스의 성공요인』(2019), 편서로 『Trans-Pacific Imagination』(2020) 등이 있다.


저 : 김창경

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연구 영역은 중국문학(문화), 중국 지역 연구이며, 주요 저역서로는 『쉽게 이해하는 중국문화』, 『중국문화의 이해』, 『중국문학의 감상』, 『단절』, 『중국인의 정신』, 『그림으로 읽는 중국문학 오천년』, 『삼파집』 등이 있다.

Xếp hạng sách điện tử này

Cho chúng tôi biết suy nghĩ của bạn.

Đọc thông tin

Điện thoại thông minh và máy tính bảng
Cài đặt ứng dụng Google Play Sách cho AndroidiPad/iPhone. Ứng dụng sẽ tự động đồng bộ hóa với tài khoản của bạn và cho phép bạn đọc trực tuyến hoặc ngoại tuyến dù cho bạn ở đâu.
Máy tính xách tay và máy tính
Bạn có thể nghe các sách nói đã mua trên Google Play thông qua trình duyệt web trên máy tính.
Thiết bị đọc sách điện tử và các thiết bị khác
Để đọc trên thiết bị e-ink như máy đọc sách điện tử Kobo, bạn sẽ cần tải tệp xuống và chuyển tệp đó sang thiết bị của mình. Hãy làm theo hướng dẫn chi tiết trong Trung tâm trợ giúp để chuyển tệp sang máy đọc sách điện tử được hỗ tr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