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이론과 역사학

· 지식을만드는지식
Ebook
548
Pages

About this ebook

미제스는 일찍이 ≪사회주의≫(1922)에서 사회주의를 존속 불가능한 체제라고 비판했다. 사회주의의 핵심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다. 그런 뒤 마지막 남아 있는 신화인 역사 발전 경로에 대한 잘못된 믿음, 즉 사적 유물론 비판에 나섰다. 사회주의 체제를 방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진보라고 칭하는 현상이 여전히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제스는 ≪과학이론과 역사학≫(1957)을 쓰게 되었다. 미제스는 마르크스 등의 사적 유물론과 달리 역사가 개인 혹은 개인들의 그룹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보았다. 바로 이 개인들이 각자의 목적을 가지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동한다. 개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실천하는 것이다.

역사학에서 궁극적인 기정사실은 개인성이다. 모든 역사적 현상이 개인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그 무엇인가가 개별 인간의 성격, 즉 사상과 판단, 그리고 그것에 인도된 행동을 낳는 것은 아니다. 영향을 받을 수는 있으나 필연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역사학에서 개인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문이 심정학이다. 심정학이란 말은 미제스가 심리학이란 말이 통속적으로 자연과학적으로 이해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느껴 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 만든 말이다. 이는 독심술 혹은 관심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인데,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 통찰력과 관련이 있다. 이는 인간의 정서, 열의, 사상, 가치 판단, 그리고 의지에 대한 인식도 의미한다. 이는 물론 역사학자들에게는 물론이고 시, 소설, 연극 대본을 쓰는 저자들에게도 필요불가결하고, 나아가 모든 사람이 일상 행위를 할 때 필요불가결한 재능이다. 이 재능을 활용해 역사학은 특유의 이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은 과학의 다른 부문들의 도움을 받듯이 심정학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받아야 한다.

나아가 역사학은 과학이론의 도움을 받아서 새로 쓸 수 있고, 또 써야 한다. 이때 과학 이론은 그 자체로 진위가 검증되어야 한다. 그것에 대해 마르크스주의나 지식사회학처럼 계급 이해관계의 반영인 양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 미제스 말대로 옳지 않은 이론이 계급 이해관계에도 맞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검증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급적 증오나 비난에 호소하는 것이라면 더더욱 옳지 않다.

About the author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1881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왕국의 렘베르크 시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우크라이나 땅인 이곳에서 아버지가 철도부설 기술자로 일했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오스트리아 자유당 국회의원을 지냈던 요아힘 란다우의 조카였다. 미제스는 어린 시절 부모님을 따라 빈으로 이주했다.1900년 빈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해 1906년에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몇 달간 재무부에 근무하다가 법률사무소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1909년 빈 상공회의소로 들어가 1938년 히틀러 나치의 침략 이후 쫓겨날 때까지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1934년 이후에는 제네바 국제관계연구소 대학원의 초청을 받아 스위스로 갔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미제스는 1차 대전 패전국이었던 오스트리아 문제가 더 이상 국내적인 것이 아니었기에 국제연맹이 있던 제네바로 갔다고 썼다. 미제스는 경제학의 과학성을 위해 헌신적 연구를 하면서도, 이처럼 현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뛰었다.
59세의 나이에, 10년 이상 사귄 배우 출신의 미망인 마르기트와 결혼했다. 그리고 히틀러가 프랑스 침공에 성공하고, 빈에 있는 미제스의 집을 수색해 책이나 문헌을 압수해 가자 어쩔 수 없이 마르기트와 함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가는 길을 택했다. 이후 세미나를 주재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쳐 오스트리아학파를 번성시켰다. 1973년 10월 10일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책들 중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인식론을 다듬은 것으로는 ≪경제학의 인식론적 문제들(Epistemological Problems of Economics)≫(1933), ≪과학이론과 역사학?사회·경제적 진화에 대한 해석(Theory and History?An Interpretation of Social and Economic Evolution)≫(1957), ≪경제과학의 궁극적 기초(The Ultimate Foundation of Economic Science)≫(1962)가 있다.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내용을 발전시킨 책으로 ≪화폐와 신용의 이론(The Theory of Money and Credit)≫(1912), ≪경제학(National?konomie)≫(1940), 이 책을 확대 발전시켜 미국에서 발간한 경제학 개론서인 ≪인간행동(Human Action)≫(1949)이 있다.
또한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적 지침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자유주의(Liberalismus)≫(1927)가 그것이다.
고국 오스트리아에서도 인플레이션 정책에 견결히 반대를 했고, 성공도 좌절도 맛보았지만, 미국에 와서도 간섭주의의 원인인 국가 관료주의에 대한 비판의 예봉을 삼가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1929년에 출간했던 ≪간섭주의 비판(Kritik des Interventionismus)≫의 영어판 ≪간섭주의: 경제적 분석(Interventionism: An Economic Analysis)≫(1941)을 냈고, 히틀러 정권의 대두에 대해서 분석한 ≪전능한 정부?전체주의 국가의 대두와 전면전(Omnipotent Government?the rise of the total state and total war)≫(1944), 기업가의 회사 경영과 관료 지배가 얼마나 다른가를 분석한 ≪관료제(Bureaucracy)≫(1944)를 연달아 출간했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