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 연대기: 우리가 사랑한 작은 행성의 파란만장한 역사

· 사이언스북스
ইবুক
304
পৃষ্ঠা

এই ইবুকখনৰ বিষয়ে

밀리언셀러 과학 작가가 들려주는 명왕성의 비밀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에 얽힌 세계 천문학계의 숨겨진 이야기


[목차]

책을 시작하며


1 문화 속의 명왕성

2 역사 속의 명왕성

3 과학에서의 명왕성

4 명왕성의 몰락

5 미국을 분열시킨 명왕성

6 명왕성 최후의 날

7 왜소 행성이 된 명왕성

8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명왕성

9 명왕성의 후일담


부록 A 명왕성 자료

부록 B 「행성 X」(가사 전문)

부록 C 「나는 그대의 달」(가사 전문)

부록 D 「명왕성은 이제 행성이 아니라네」(가사 전문)

부록 E 로스 센터의 명왕성 전시 방식에 대한 필자의 공식 보도 자료

부록 F 행성의 정의에 관한 국제 천문 연맹의 결의안

부록 G 명왕성의 행성 지위에 관련한 뉴멕시코 주의 법안

부록 H 명왕성의 행성 지위에 관련한 캘리포니아 주의 법안


후주

더 읽을거리

도판 저작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লিখকৰ বিষয়ে

닐 디그래스 타이슨

미국 자연사 박물관 부설 헤이든 천문관의 천체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을 비롯한 과학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세계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 1958년에 뉴욕에서 태어난 타이슨은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천체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주론, 별의 형성과 진화, 왜소 은하, 우리 은하의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며 수십 편의 논문과 보고서를 펴냈다. 뉴욕 자연사 박물관에서 발행하는 《자연사》의 고정 필진으로 칼럼을 연재했고, 『블랙홀 옆에서』, 『오리진』, 『스페이스 크로니클』 등 여러 과학책을 펴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2014년에 전 세계에 방영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의 내레이터로 출연한 것이다. 현재 팟캐스트 「스타 토크」를 진행하고 있으며 1200만 명에 가까운 팔로워를 거느린 트위터 계정도 운영 중이다. 타이슨은 19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4년 NASA 공로 훈장을 받았다. 국제 천문 연맹에서는 타이슨의 공로를 기려 소행성에 ‘13123 타이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2000년에는 《피플》에서 ‘현존하는 가장 섹시한 천체 물리학자’로 선정되기도 했고, 2015년 미국 과학 학회의 ‘공익 메달’을 받기도 했다.

এই ইবুকখনক মূল্যাংকন কৰক

আমাক আপোনাৰ মতামত জনাওক।

পঢ়াৰ নির্দেশাৱলী

স্মাৰ্টফ’ন আৰু টেবলেট
Android আৰু iPad/iPhoneৰ বাবে Google Play Books এপটো ইনষ্টল কৰক। ই স্বয়ংক্রিয়ভাৱে আপোনাৰ একাউণ্টৰ সৈতে ছিংক হয় আৰু আপুনি য'তে নাথাকক ত'তেই কোনো অডিঅ'বুক অনলাইন বা অফলাইনত শুনিবলৈ সুবিধা দিয়ে।
লেপটপ আৰু কম্পিউটাৰ
আপুনি কম্পিউটাৰৰ ৱেব ব্রাউজাৰ ব্যৱহাৰ কৰি Google Playত কিনা অডিঅ'বুকসমূহ শুনিব পাৰে।
ই-ৰীডাৰ আৰু অন্য ডিভাইচ
Kobo eReadersৰ দৰে ই-চিয়াঁহীৰ ডিভাইচসমূহত পঢ়িবলৈ, আপুনি এটা ফাইল ডাউনল’ড কৰি সেইটো আপোনাৰ ডিভাইচলৈ স্থানান্তৰণ কৰিব লাগিব। সমৰ্থিত ই-ৰিডাৰলৈ ফাইলটো কেনেকৈ স্থানান্তৰ কৰিব জানিবলৈ সহায় কেন্দ্ৰত থকা সবিশেষ নিৰ্দেশাৱলী চাও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