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 년 동안 무(武)보다 문(文)을 숭상함의 풍습이 조선인의 민족적 정기를 닳아서 없어져 얼마큼 나약하게 된 것만은 꺼리고 감추거나 숨기지 못할 사실이다. 발기(發岐) 이전에도 고구려에 시해(弑害)와 반란이 있었고 발기 이후에도 고구려에 시해와 반란이 있었다. 남생(男生)의 성격은 호쾌한 그 아버지와는 판이하게 달라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고 시기 의심이 많았다.?국방 제일선에는 요동성(遼東城)을 중심으로 그 남쪽에는 이름 높은 안시성(安市城)이 있고 그 북쪽에는 신성(新城)이 있었다. 신성(新城)은 고구려 서쪽 변두리 요해(要害)이다. 복신(福信)의 백제 부흥운동을 반란이라고 하여 반란사(叛亂史) 사이에 넣는 것은 너무나 억눌린 일일지 모른다. 세인(世人)의 여러 사람의 공정한 눈에 어찌 비치든지 적어도 신라 측으로는 그렇지 않은 것이 아니다.본문 중에서
About the author
*문일평(文一平)(1888~1939) 호 호암(湖岩)독립운동가, 언론인, 사학자평북 정주(定州) 출생송도(松都)고보, 배재고보 교사정주 오산학교 졸업, 와세다대학에서 정치학 수학조선일보 기자저서 호암전집(湖巖全集), 역사 관련 서적 다수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