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국경 없는 TV, 경쟁하는 프로그램?
1장 콘텐츠 마켓과 글로벌 콘텐츠 비즈니스?
축제와 전쟁, 콘텐츠 마켓의 두 얼굴?
페스티벌이냐, 마켓이냐?
영상 콘텐츠와 마켓?
문화전쟁 시대?
세계의 다큐멘터리 페스티벌?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칸 견본시와 다큐멘터리 전문 마켓?
아시아의 다큐멘터리 페스티벌?
국제공동제작, 피칭에서 배급까지?
다큐멘터리와 국제공동제작 피칭?
피칭 프레젠테이션?
피칭과 후속 비즈니스?
2장 성공하는 콘텐츠 마켓?
다큐멘터리 페스티벌과 프로듀서?
개발기: 튼튼한 기초공사가 필요하다?
준비기: 반복, 반복 연습하라?
행동기: 네트워크를 형성하라?
작업기: ‘선택과 집중’ ? Make it Simple?
후속 작업 기간: 메일 보내기?
아시안사이드오브더독(ASD)과 다큐멘터리의 도전?
피칭 세션?
사이드 바이 사이드 미팅?
마스터 클래스?
패널 토론?
사이드 바?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도전 과제?
국제 필름 페스티벌의 역할?
영화제의 카테고리?
프로젝트 마켓과 펀드?
PIFF와 JIFF, 대한민국 국제영화제의 오늘?
영화제와 프로그래머?
아시아 영화와 영화 산업 중심의 부산국제영화제?
전 세계 독립 예술 영화와 관객 중심의 전주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와 전주국제영화제의 차이?
부산국제영화제와 전주국제영화제의 성공 요인?
국제영화제의 과제?
3장 한국 콘텐츠 비즈니스의 생존 전략?
왜 글로벌 프로듀싱인가??
국경 없는 콘텐츠 시장?
글로벌 프로듀싱의 기획과 실행?
K-Pop의 성공 요인?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한류?
한류 2.0, 진화와 과제?
로컬 코리아를 넘어서?
한류의 글로벌 프로듀싱?
한국 다큐멘터리와 세계 시장?
지상파 다큐멘터리 제작 시스템의 문제점?
다큐멘터리와 공동제작?
다큐멘터리의 경쟁력?
글로벌 이벤트 프로듀싱: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아시아가요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아시아 가요 축제의 경과?
아시아 가요제의 현재와 전망?
4장 미래의 콘텐츠 프레임워크?
GLOBAL: 국경 없는 시장, 전 지구적 콘텐츠?
싸이월드와 국적성?
글로벌 소싱과 현지화 전략?
SOCIAL: 끊임없는 소통으로 소비자가 참여하는 콘텐츠?
참여의 광장,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의 기회와 위협 요인?
SMART: 시간, 장소, 스크린을 뛰어넘는 전천후 콘텐츠?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
스마트 시대의 콘텐츠 경쟁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