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거이 시선

· 지식을만드는지식
Ebook
170
Pages

About this ebook

백거이는 일생 동안 3000여 편에 달하는 시를 남겨 당나라 시인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시인이며,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이후 가장 위대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백거이는 강주(江州)에 있을 때에 자신의 시가 작품을 정리 편집하면서 풍유(諷諭)·한적(閑適)·감상(感傷)·잡률(雜律) 네 부문으로 분류한 적이 있다. 이 중 백거이 자신은 풍유시와 한적시를 비교적 중시했다. 풍유시는 “세상 구제”를 반영하고, 한적시는 “자기 수양”을 드러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백거이는 <여원구서(與元九書)>에서 “문장은 시대에 부합하게 쓰고, 시가는 현실에 부합하게 지어야 한다(文章合爲時而著, 詩歌合爲事而作)”고 했다. 현실의 중대한 사회 문제를 직시해서 시가는 시대의 맥락과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잘못된 현실을 바로잡는 구실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그의 시가는 사회 모든 방면에 걸쳐 폐단을 드러내고 권문귀족의 잘못된 행위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낸 작품이 많다. 그러므로 백거이의 시가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풍유시라고 할 수 있다. <신악부(新樂府)> 50수와 <진중음(秦中吟)> 10수 등의 대표작도 여기에 속한다. 이들 작품은 중당(中唐) 시기 사회 각 방면의 중요한 문제를 반영해 현실의 어두운 면과 백성의 고통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백거이의 한적시는 전원에 은거해 조용히 살아가고자 하는 바람과 자기 자신을 고결하게 지키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는 작품이다. 많은 작품들이 ‘낙천안명(樂天安命)’의 사상을 드러내고 있지만, 이런 시가들의 측면에는 현실에 대한 불만을 포함하고 있어, 그가 한적을 추구하는 이유가 어찌할 수 없는 자아 해탈에 있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감상시는 한순간의 시인의 감상을 노래한 것이지만, 종종 깊은 기탁감을 느끼게 해 주고 있다. 유명한 장편 서사시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은 인구에 회자되는 백거이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아이들도 <장한곡>을 이해하고 읊을 수 있었고, 오랑캐 아이들도 <비파편>을 부를 수 있었다(童子解吟長恨曲, 胡兒能唱琵琶篇)”고 한 것에서 보듯이 시인 당시에도 이미 크게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두 수의 장편 시는 서사가 곡절이 있고, 소리와 색채의 묘사가 뛰어났으며 분위기의 홍탁(烘托)과 음률 면에서도 예술적인 성취가 높다.

잡률시는 백거이의 작품 중에서 작품 수가 가장 많다. 이 중 가장 작품성이 있고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작품은 경물을 묘사한 서정성 넘치는 짧은 시들이다. 이들 시는 대부분 백묘(白描) 수법을 사용해 짧은 시편 속에서 생동감 넘치는 경계를 드러내고 있어 인구에 회자하는 작품이 많다.

백거이의 시가는 기본적인 풍격이 평이하다. 이는 일상적인 시어를 사용해 일상적인 일을 묘사해서 아주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시의 의미를 느끼게 해 준다는 것이다. 이는 또한 서사와 감정 표현이 자연스럽게 일치해 많은 사람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백거이는 생전에 이미 시명을 날려 중국 각지에 그의 시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이후 많이 애송되는 주요 작가가 되었다.

About the author

백거이(白居易, 772∼846)의 자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일찍이 태자소부(太子少傅)의 벼슬을 지내 ‘백부(白傅)’라고 칭하기도 하며 시호가 ‘문(文)’이라서 ‘백문공(白文公)’이라 부르기도 한다.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이자, 문학가다.
정주(鄭州) 신정(新鄭)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 전란으로 인해 5, 6년간 유랑하는데, 이때 사회의 모순을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 덕종(德宗) 정원(貞元) 16년(800)에 진사과에 급제했고, 18년(802)에는 발췌과고시에 갑등으로 합격해 비서성교서랑을 제수받아 원진(元?)과 함께 관직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후에 시단에서는 이 둘을 ‘원백(元白)’으로 칭하게 된다.
헌종(憲宗) 원화(元和) 원년(806)에는 교서랑을 그만두고 <책림(策林)> 75편을 지어 주질현위가 되었다. 원화 2년(807)에는 조정으로 돌아와 한림학사가 되었다가 이듬해에 좌습유를 제수받았다. 원화 4년(809)에는 원진·이신(李紳) 등과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주도했다. 원화 5년(810)에는 경조부호조참군을 지냈다. 원화 6년부터 8년(811∼813)까지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 관직을 그만두고 하규(下?)에 머무르게 된다. 원화 9년(814)에 장안으로 돌아와 태자좌찬선대부(太子左贊善大夫)가 되었는데, 이듬해에 번진(藩鎭)의 반란이 일어나고 자객이 재상 무원형(武元衡)을 암살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백거이는 앞장서서 재상을 살해한 자객을 체포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으나, 대신들은 그가 간관의 직무를 뛰어넘는 월권을 했다고 비판한다. 이때에 또 어떤 이가 이 기회를 틈타 그의 어머니가 꽃구경을 하다 우물에 빠져 세상을 떠났는데 <꽃을 구경하다(賞花)>·<새 우물(新井)>과 같은 시를 지어 예교를 어겼다고 모함해 강주(江州)자사(刺史)로 좌천당했다. 중서사인 왕애(王涯)가 상소를 올려 백거이가 군(郡)을 다스리는 것이 합당치 않다고 하자, 이에 그는 다시 강주사마로 좌천되었다. 이 좌천은 백거이에게 큰 타격을 주어 벼슬을 하고 있으나 본마음은 은거하고자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으며, 천하를 구제해야겠다는 젊은 날의 포부를 버리고 홀로 한 몸을 잘 보존해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원화 13년(818) 충주자사가 되었다가, 원화 15년(820)에 헌종이 갑자기 죽고 목종(穆宗)이 즉위하자 조정으로 돌아와 중서사인이 된다. 조정에서 당쟁이 일어나자 백거이는 정치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고자 외직을 맡겠다고 자청해 장경(長慶) 2년(822)부터 항주·소주자사 등을 지내며 백성의 마음을 얻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문종(文宗) 대화(大和) 원년(827)에 비서감·형부시랑을 제수받았지만, 그는 낙양(洛陽)에서 벼슬하며 머물 것을 자청한다. 대화 3년(829) 이후부터 백거이는 낙양에 거주하며 태자빈객·하남윤·태자소부 등의 관직을 지냈다. 낙양에서 백거이는 시·술·선(禪)·금(琴)·산수를 즐기면서 유우석(劉禹錫)과 창화(唱和)해 ‘유백(劉白)’이라 칭해지기도 했다. 무종(武宗) 회창(會昌) 2년(842)에 형부상서를 끝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회창 4년(844)에는 자비를 들여 용문(龍門)에 팔절석탄(八節石灘)을 정비해 물길을 편하게 해 주기도 했다. 회창 6년(846)에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낙양 용문 향산(香山)의 비파봉(琵琶峯)에 묻혔으며, 이상은(李商隱)이 묘지명을 썼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