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년에서 1930년 사이에 썼지만, 1956년 브레히트가 사망한 이후 1967년에야 동독의 ‘베를리너 앙상블’ 극단이 초연했다. 이 작품은 1929년 베를린에 몰아닥친 경기 침체와 경제 위기, 그리고 수많은 실업자들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브레히트가 의욕적으로 집필하기 시작했으나, 결국 완성하지 못했던 희곡이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의 중심적인 줄거리를 ‘일곱 아이를 키우는 과부 니오베 크베크’ 이야기로 잡았다. 그래서 이 부인이 자본가에게 약탈당하고, 결국 호텔에서 몸을 파는 여자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이 처음 브레히트가 구상했던 전체 줄거리의 흐름이었다. 그러나 자본가에게 수탈당하는 과정만 묘사된 채 이 희곡은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브레히트 연극 미학을 다룬 <연극을 위한 짧은 오르가논>을 부록으로 수록했다. 브레히트가 1948년 헬레네 바이겔의 권유로 스위스에서 집필한 이론서로, 그가 다시 독일로 되돌아가 연극 작업을 시작할 때, 희곡 작가로서 ‘새로운 연극’을 구상하기 위해 연극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인지 한 번 더 정리해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