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동파 사선

· 지식을만드는지식
Ebook
211
Pages

About this ebook

중국의 대문장가 소동파(蘇東坡, 1036∼1101)의 사선집이다.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고려 중엽에는 오로지 소동파 시만 배웠다”라고 할 정도로 소동파는 우리 문단에도 매우 지대한 영향을 끼친 문인이었다. 시문(詩文)은 물론이고 사 방면에서도 매우 큰 영향을 미쳐 당시 고려인들 사이에서 그의 사가 널리 향유되었다. 이에 소동파의 사 중 〈행향자(行香子)〉(淸夜無塵)가 《고려사·악지(樂志)》에 수록되기도 했다.

사는 기존의 곡조에 맞추어 써넣은 일종의 대중가요 가사로, 시문을 중시하는 정통 문인들에게 천시당하는 경향이 많았다. 소동파도 예외가 아니어서 그의 문집이나 시집에 사는 수록되어 있지 않았으나 소동파의 사는 시문 못지않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인정되어 별도의 사집이 간행되었다.

사는 대개 보편적인 감정을 노래해 제목을 따로 붙이지 않아도 작품 이해에 별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곡조의 이름, 즉 사패(詞牌)를 작품의 명칭으로 삼았는데 소동파는 그의 개인적인 감정을 담아 사를 지었으므로 사의 제목을 따로 붙일 필요가 있었다. 그로부터 사에 제목을 붙이는 기풍이 생겼으니 이것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소동파의 공로라 하겠다.

중국문학사에서 시를 짓듯이 사를 짓는 이러한 소동파의 작사 태도를 ‘이시위사(以詩爲詞)’라고 불렀다. 이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동파는 불가피하게 사를 지으며 사의 음악적 측면을 경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소동파가 나와서 호방파(豪放派)를 엶으로써 사가 쇠퇴하고 말았다”는 비난을 듣기도 했지만, 지식인들로 하여금 개인적인 감정을 자유롭게 노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를 서정시의 대열에 올려놓았다는 것이 소동파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다. 곡조가 없어진 지 오래인 오늘날까지도 많은 중국 지식인들이 사의 창작을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다 소동파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이 책은 현존하는 소동파의 사 작품 약 350수 가운데 대표적인 것 64수를 선정해 역주한 것이다. 엄선된 작품을 여섯 개의 범주로 나누고 다시 창작 시기순으로 배열했다. 서울대 명예교수로 있는 역자 류종목이 원작을 충실하면서도 역문으로도 한 편의 작품이 될 수 있도록 글자 수. 압운 등과 같은 역문의 시적 운율도 최대한으로 고려해 번역했다.

About the author

소식(蘇軾, 1036∼1101) 1036년 중국 사천성에서 태어났다.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거사(東坡居士), 이름은 식(軾)이다. 부친 소순(蘇洵), 아우 소철(蘇轍)...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