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악惡의 역사를 매듭 짓는 유일한 방법에 관한 보고서
2016년 대한민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던 박근혜 정권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실행에 관한 2년여의 진상조사위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사회에서 감시와 검열은 어떠한 결말을 맞는지, 우리의 처벌은 정당했으며 역사는 오늘의 우리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를 2차 세계대전의 전범 도조 히데키와 김기춘의 비교로부터 고찰하는 블랙리스트의 현재사가 담긴 책이다.
『우리는 누구도 처벌하지 않았다』(위즈덤하우스, 2019)는 지나칠 정도로 현실과 무관한 역사학의 논의에서 벗어나 오늘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의 역사를 고민하는 한 역사학자의 치열한 노력의 결과이다. 저자 심용환은 오늘의 현실은 과거의 대한민국사를 압도할 만큼 새로우며, 그렇기 때문에 오늘의 역사가는 '현대사'가 아닌 '현재사'로서 블랙리스트 사태에 응전해야 한다고 말한다. 몇 개 기사의 헤드라인을 훑는 것만으로는 이해할 수도 해결할 수도 없는 문제의 해답이 진지하고 냉철한 복기 안에 숨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책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의 주범인 김기춘을 '현재사의 인물'로서 기술하기 위해 2차 세계대전의 전범 도조 히데키를 비교 분석의 대상으로 소환한다. 또한 조윤선과 김종덕 전 문화체육부장관의 맹종을 이해하기 위한 대상으로 히틀러 시대의 철저한 문화예술계 추종자인 알베르트 슈페어를 비교한다. 흡사 데칼코마니와도 같은 이들의 양태는 같은 선택을 할 때 역사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증명하며,동시에 정당한 처벌 없이 진보하는 사회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 : 심용환
2015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파동 당시 빠르게 퍼지고 있던 악의적인 ‘찌라시’를 조목조목 따진 ‘카톡 유언비어 반박문’이 화제가 되어 세상에 나왔다. 그 한 번의 선택으로 이름난 한국사 강사라는 평탄한 길에서 이탈해, 왜곡과 날조가 판치는 ‘역사전쟁’의 선두에 서게 된다.
2017년, 우연하지만 필연적인 결과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의 백서편찬 소위원회 편집위원이 되어 박근혜 정권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를 면밀하게 들여다볼 기회를 얻게 된다. 이를 통해 블랙리스트 사태가 이미 끝나버린 과거의 역사가 아닌 지금도 새롭게 기술되고 있는 ‘현재사’임을, 여전히 정의와 기억의 관점에서 우리는 누구도 처벌하지 않은 채 블랙리스트의 역사를 망각해버렸음을 깨닫는다. 이 책은 역사학자로서 학문적 양심을 걸고 집필해낸 정당한 처벌에 관한 문제제기이자, 후대에 당당한 역사를 물려주고자 노력하는 건강한 시민으로서의 행동이다.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했으며, 오랜 기간 대학생 인문학 공동체 ‘깊은 계단’을 이끌었다. 역사N교육연구소 소장이자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이며 KBS <역사저널 그날>, MBC라디오 <굿모닝 FM 김제동입니다>를 통해서도 대중과 만나고 있다. 저서로는 《단박에 한국사-근대편》, 《단박에 한국사-현대편》, 《단박에 조선사》, 《역사 전쟁》, 《헌법의 상상력》, 《심용환의 역사 토크》가 있으며 변상욱 대기자와 함께 팟캐스트 <심용환의 역공>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