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중부권

·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Libri 1 · 창비 Changbi Publishers
5,0
1 koment
Libër elektronik
880
Faqe

Rreth këtij libri elektronik

 누적 판매부수 370만, 한국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 전 국토를 박물관으로 만들며 문화유산답사 붐을 이끌어온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국내편 여섯 권을 지역별 세 권으로 재구성한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전3권)가 출간되었다. 『창작과비평』 50주년을 기념해 기획된 이번 ‘여행자판’은 1~3권과 6~8권으로 나뉜 기존 ‘답사기’의 국내편을 중부권, 전라․제주권, 경상권으로 재구성해(4~5권은 ‘북한편’) 국내 여행에 실질적인 정보 가이드를 주고자 했다.

 

권역별 세 권으로 충실한 구성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모두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답사기’ 국내편의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했다. 1권 중부권에는 경기․충청․강원도 지역의 문화유산을 돌아본다. 백제의 역사를 따라가는 부여․논산․보령 기행, 폐사지 답사의 운치를 새롭게 일깨워준 바 있던 원주를 비롯한 강원도 기행 등이 실려 있다. 2권 전라․제주권에는 ‘답사기’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던 ‘남도답사 일번지’ 기행과 관광지이기만 했던 제주의 문화유산을 재조명한 제주도 답사기 전문이 실려 있다. 3권 경상권에는 무수한 문화유산의 전시관인 경주 기행, 운문사와 부석사로 대표되는 경상도의 사찰 기행이 그대로 옮겨져 있다.

기존 판본의 국내편 6권이 불러일으켰던 전국적인 답사 붐에 대한 기록도 기록이려니와 ‘아는 만큼 보인다’ ‘전 국토가 박물관이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 같은 명구들을 남긴 ‘답사기’를 새로이 읽는 맛을 선사한다. 또한 단순 여행 정보와 맛집 소개 일색의 여행 안내서와는 전혀 다른 품격의 독서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정보와는 차원이 다른 유홍준표 문화유산 해설, 읽을 가치와 소장 가치를 겸비한 ‘여행자판’은 세대를 불문하고 사랑받을 것이다.

 

 

깊이 있는 답사여행의 길잡이

저자 유홍준이 이번 ‘여행자판’의 「책머리에―답사여행객을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애당초 내가 처음 ‘답사기’를 저술할 때는 독서를 위한 기행문”이라고 쓴 데에서 알 수 있듯이, 7권 ‘제주편’과 8권 ‘남한강편’ 이전에는 특정 지역이 아닌 전국 각지를 두루 돌아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보니 실제 답사나 여행을 갈 경우, 그 지역의 내용만 압축적으로 보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지역별 관광 여행 안내서가 다수 출간되어 있으나, 문화유산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동반한 ‘답사기’ 여행에 대한 수요는 여전했다.

이에 창비는 올해 『창작과비평』 50주년을 맞이해 전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갖춘 여행의 편의를 돕고 새로운 답사 여행을 위한 안내서로 재구성하는 기획을 내놓게 되었다. 이번 ‘여행자판’에서는 전면적인 개정보다는 지역별 재구성에 더 의의를 두고 편집했으며 핸디한 판형과 새로운 장정으로 선보이고자 했다. 여전히 매년 수만의 독자들이 찾아 읽는 책으로서의 매력이 유효한 ‘답사기’는 이번 ‘여행자판’을 통해 그동안 ‘답사기’를 읽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여행 가이드북이자 인간․역사․문화가 살아숨쉬는 인문교양서가 될 것이며, 이미 ‘답사기’를 읽은 독자들에게는 실용성을 가미한 여행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특히 젊은 독자층을 겨냥해 기존의 표지와 완전히 다른 디자인을 선보이되, 기존 ‘답사기’의 내용은 빠짐없이 넣고자 했다.

20여 년 넘게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답사기’의 저자 유홍준은 이에 대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도 어느 순간에는 글맛을 느낄 수 없는 옛글이 되어 독서의 대상으로서는 생명을 다하게 되고 내용만 살아남아 답사여행의 길잡이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최종 형태는 답사여행의 안내서로 마무리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도 들었다”라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결코 느슨한 독서를 허락하지 않되, 입담과 글맛이 살아 있는 ‘답사기’가 인문서를 넘어서 ‘답사여행 안내서’로 새롭게 태어났다. 이유 있는 변신을 한 이번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고급 실용서의 영역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리라 기대한다.

 

[추천사]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우리에게 던지는 감동은 참으로 크다. 그중에서 가장 결정적인 것은 우리 것에 대한 깨달음이다. 유럽과 중국 여행에서 상처받고 돌아온 열등감을 따뜻이 위로할 뿐 아니라, 알프스산맥과 만리장성을 뛰어넘은 새로운 미학의 재구성에 성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답사기’는 ‘과거유산’의 답사기가 아니라 ‘미래문명’의 탐사기(探査記)이며 ‘나의’ 답사기가 아니라 ‘우리의’ 탐사기이다.

—고(故) 신영복

 

놀라운 일이 여기 있다! 다른 사람이 가는 곳은 다만 석양머리 적막강산이다. 그런데 유홍준이 성큼성큼 그곳에 가면 거기 몇천년 동안 잠든 보물들이 깨어나 찬란한 잔치를 베풀기 시작한다. 다른 사람이 보는 것은 다만 눈감은 사물이다. 그런데 유홍준의 눈빛이 닿자마자 그 사물은 문화의 총체로 활짝 꽃피운다. 마침내 다른 사람과 유홍준은 하나가 되어 이 강산 방방곡곡을 축복의 미학으로 채우고 있다.

무릇 벗들이여, 이 책과 더불어 순례하라, 찬탄하라.

—고은(시인)

 

유홍준 ‘답사기’의 존재는 한국 인문학의 축복이자 기행문학의 우뚝한 성과다. 책의 첫 권이 나왔을 때 ‘이 답사기가 독서계에 한바탕 바람을 일으키면서 우리 역사와 문화유산의 보물들이 두고두고 우리의 삶 속에 살아숨쉬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했는데, 나의 기대가 이후 현실이 된 것은 흐뭇한 일이지만 앞으로도 ‘답사기’의 영향이 계속 퍼져나가기를 바란다.

—백낙청(서울대 명예교수, 문학평론가)

 

[차례]

<1권 중부권[경기/강원/충청]>

 

회상의 백제행

회상의 백제행 1—서울: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회상의 백제행 2—공주: 정지산 산마루에 누대를 세우고

회상의 백제행 3—부여: 산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부여•논산•보령 1: 내 고향 부여 이야기

부여•논산•보령 2: 그 많던 관아는 다 어디로 갔나

부여•논산•보령 3: 백제의 여운은 그렇게 남아 있고

부여•논산•보령 4: 바람도 돌도 나무도 산수문전 같단다

 

예산 수덕사와 서산 마애불

예산 수덕사: 내포땅의 사랑과 미움

개심사와 가야산 주변: 불타는 가야사와 꽃피는 개심사

서산마애불: 저 잔잔한 미소에 어린 뜻은

 

양양 낙산사와 하늘아래 끝동네

양양 낙산사: 동해 낙산사의 영광과 상처

관동지방의 폐사지: 하늘 아래 끝동네

 

아우라지강의 회상

아우라지강의 회상—평창•정선 1: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아우라지강의 회상—평창•정선 2: 세 겹 하늘 밑을 돌아가는 길

 

원주의 문화유산과 폐사지

주천강 요선정: 주천강변의 마애불은 지금도 웃고 있는데

법흥사에서 김삿갓 묘까지: 시시비비 시시비(是是非非是是非)

청령포와 단종 장릉: 고운 님 여의옵고 울어 밤길 예놋다

원주 거돈사터•법천사터와 충주 청룡사터: 마음이 울적하거든 폐사지로 떠나라

원주 흥법사터와 여주 고달사터: 돌거북이 모습이 이렇게 달랐단 말인가

 

남한강변의 명승 탐방

청풍 한벽루: 누각 하나 있음에 청풍이 살아 있다

단양8경: 단양의 명성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이다

구단양에서 신단양까지: 시와 그림이 있어 단양은 더욱 아련하네

영춘 온달산성과 죽령 옛길: 강마을 정취가 그리우면 영춘가도를 가시오

제천 의림지에서 충주 목계나루까지: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충주 탄금대와 여주 신륵사

여주 신륵사: 절집에 봄꽃 만발하니 강물도 붉어지고

충주 가흥창에서 탄금대까지: 석양의 남한강은 그렇게 흘러가고 있었다

 

 

<2권 전라․제주권>

남도답사 일번지

남도답사 일번지—강진•해남 1: 아름다운 월출산과 남도의 봄

남도답사 일번지—강진•해남 2: 영랑의 슬픔과 다산의 아픔

남도답사 일번지—강진•해남 3: 세상은 어쩌다 이런 상처를 남기고

남도답사 일번지—강진•해남 4: 일지암과 땅끝에 서린 얘기들

 

지리산 연곡사와 조계산 선암사

구례 연곡사: 저문 섬진강에 부치는 노래

순천 선암사 1—산사의 미학: 깊은 산, 깊은 절

순천 선암사 2—365일 꽃이 지지 않는 옛 가람

 

담양 소쇄원

담양 소쇄원: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

담양의 옛 정자와 원림: 자미탄의 옛 정자를 찾아서

 

미완의 여로

익산 미륵사터: 이루어지지 않은 왕도의 꿈

미완의 여로 1—부안 변산: 끝끝내 지켜온 소중한 아름다움들

미완의 여로 2—고부 녹두장군 생가: 미완의 혁명, 미완의 역사

고창 선운사: 동백꽃과 백파스님, 그리고 동학군의 비기(秘機)

 

제주도

제주답사 일번지 1―와흘 본향당: 본향당 팽나무에 나부끼는 하얀 소망들

제주답사 일번지 2―조천 너븐숭이: 외면한다고 잊혀질 수 없는 일

제주답사 일번지 3―다랑쉬오름: 설문대할망의 장대한 대지예술

제주답사 일번지 4―용천동굴: 이보다 더 아름다운 용암동굴은 없다

제주답사 일번지 5―하도리 해녀 불턱: 숨비소리 아련한 빈 바다에 노을이 내리네

한라산 윗세오름 등반기―영실: 진달랩니까, 철쭉입니까

탐라국 순례 1―삼성혈: 전설은 유물을 만나 현실로 돌아온다

탐라국 순례 2―관덕정: 탐라국에서 제주도로 넘어가면서

탐라국 순례 3―오현단: 제주의 삼보(三寶)와 영주십경(瀛州十景)

제주의 서남쪽 1―하멜상선전시관: 불로초를 찾아 오고, 태풍에 실려 오고

제주의 서남쪽 2―송악산: 아, 다녀가셨군요

제주의 서남쪽 3―대정 추사 유배지: 세한도를 그릴 거나, 수선화를 노래할 거나

제주의 서남쪽 4―모슬포: 모슬포 모진 바람은 지금도 여전하고

가시리에서 돈내코까지 1―조랑말박물관: 순종을 지키고 고향을 지키련다

가시리에서 돈내코까지 2―제주학의 선구자들: 잊어서는 안 될 그분들을 기리며

 

 

<3권 경상권>

경주, 신라 고도 1천년의 유산

경주 1: 선덕여왕과 삼화령 애기부처

경주 2: 아! 감은사, 감은사 탑이여!

경주 3: 에밀레종의 신화(神話)와 신화(新話)

토함산 석불사 1: 그 영광과 오욕의 이력서

토함산 석불사 2: 석굴의 신비에 도전한 사람들

토함산 석불사 3: 무생물도 수명이 있건마는

경주 불국사 1: 불국사 안마당에는 꽃밭이 없습니다

경주 불국사 2: 믿기는 뭘 믿었단 말이냐

 

영주 부석사와 북부 경북 순례

영주 부석사: 사무치는 마음으로 가고 또 가고

북부 경북 순례 1-의성•안동: ‘니껴’형 전탑의 고장을 아시나요

북부 경북 순례 2-안동•풍산: 니, 간고등어 머어봤나

북부 경북 순례 3-하회•예안: 형님, 음복까지는 제사요!

북부 경북 순례 4-도산서원: 저 매화나무 물 줘라

북부 경북 순례 5-임하•영양: 지례보다야 많겠지

 

청도 운문사와 문경 봉암사

청도 운문사와 그 주변 1: 저 푸른 소나무에 박힌 상처는

청도 운문사와 그 주변 2: 운문사 사적기와 운문적의 내력

청도 운문사와 그 주변 3: 연꽃이 피거든 남매지로 오시소

문경 봉암사 1: 별들은 하늘나라로 되돌아가고

문경 봉암사 2: 술이 익어갈 때는

 

달성 도동서원과 창녕 관룡사

달성 도동서원: 도(道)가 마침내 동쪽으로 오기까지

창녕: 비화가야 옛 고을의 유서깊은 유산들

 

서부 경남 이야기

지리산 동남쪽—함양•산청 1: 옛길과 옛 마을에 서린 끝모를 얘기들

지리산 동남쪽—함양•산청 2: 산은 지리산

거창•합천 1: 정자 고을 거창의 코스모스 길

거창•합천 2: 종가의 자랑과 맏며느리의 숙명

거창•합천 3: 쌍사자석등은 황매산을 떠받들고

 

Changbi Publishers

Vlerësime dhe komente

5,0
1 koment

Rreth autorit

유홍준 兪弘濬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 사학과(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 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 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 를 개설했으며,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대표를 맡았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명지대 문화예술대학원장, 문화 재청장을 역임했다.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후 석좌교수로 있으며, 가재울미술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Vlerëso këtë libër elektronik

Na trego se çfarë mendon.

Informacione për leximin

Telefona inteligjentë dhe tabletë
Instalo aplikacionin "Librat e Google Play" për Android dhe iPad/iPhone. Ai sinkronizohet automatikisht me llogarinë tënde dhe të lejon të lexosh online dhe offline kudo që të ndodhesh.
Laptopë dhe kompjuterë
Mund të dëgjosh librat me audio të blerë në Google Play duke përdorur shfletuesin e uebit të kompjuterit.
Lexuesit elektronikë dhe pajisjet e tjera
Për të lexuar në pajisjet me bojë elektronike si p.sh. lexuesit e librave elektronikë Kobo, do të të duhet të shkarkosh një skedar dhe ta transferosh atë te pajisja jote. Ndiq udhëzimet e detajuara në Qendrën e ndihmës për të transferuar skedarët te lexuesit e mbështetur të librave elektronik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