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예루살렘에서 열린 아이히만 전범 재판을 참관한 한나 아렌트는 한 가지 결론을 내린다. ‘아이히만은 선천적인 악인이 아니라, 그저 생각함에 무능력했던 평범한 사람이었을 뿐이었다.’ 대중은 충격에 휩싸였다. 생각함에 무능력하다면, 누구든 아이히만처럼 끔찍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는 말이었기 때문이다. 과연 아렌트는 재판에서 무엇을 목격했기에 이 같은 결론을 내렸을까? 아렌트가 ‘악의 평범성’을 주장하게 된 사상적 배경은 무엇일까? 어떤 이유로 아이히만은 냉혹한 괴물이 되었을까? 인간의 ‘악’에 대한 섬뜩한 통찰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둘러싼 모든 이야기를 한 권에 담았다.
숭실대학교 철학과에서 「그람시의 실천 철학에서 본 아렌트의 정치적 행위 개념」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숭실대학교 베어드교양대학 강사로 있다. 정치철학을 전공하지만 현실 정치보다는 정치적 행위 주체로서의 인간에 더 관심이 있다. 특히 여러 분야의 책을 읽고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해서 팟캐스트에 참여하기도 하고, 대중을 위한 인문학 강의도 한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사는 이 세계에서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가에 관한 답을 찾으려 애쓰는 과정에서 아렌트를 만났고, 여전히 그 답을 찾는 중이다. 저서로는 『살아가면서 꼭 읽어야 할 서양 고전』(소울메이트, 2015)이 있으며, 공저로 『관용주의자들』(교우미디어, 2016), 『교실 밖 인문학 콘서트』(스마트북스, 2020) 외 다수가 있다. 「아렌트의 정치적 행위에서 본 마키아벨리의 정치」(2007), 「다름의 인정과 차이의 지양」(2008), 「정치와 비-정치의 경계」(2009), 「정치적 행위 주체로서의 여성과 혁명」(2010), 「정치적 행위에서 다름의 인정 ― 말하기와 듣기의 관계」(2013), 「정치적 행위에서 사회적인 것의 수용」(2015), 「정치적 행위와 서발턴의 유목적 정체성」(2017) 등 아렌트 관련 논문이 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