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중일기(초판본)(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 Mirbooks Company
Ebook
698
Pages

About this ebook

국보 76호 《난중일기》 초판본 패브릭 양장 에디션 출간 한국사의 영원한 영웅, 충무공 이순신을 만나다!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할 것이면 죽을 것이다!” 1592년 임진년. 왜의 침입에 맞서 임금마저 피난길에 오르는 숱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당당하게 싸워 이겼던 임진왜란의 스토리는 〈불멸의 이순신〉 〈징비록〉 같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TV 드라마와 누적 관객 수 천칠백만 명으로 한국영화사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는 영화 〈명량〉의 흥행까지 한국인의 정서에 깊이 녹아있다. 그래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 제독이 기록한 《난중일기(亂中日記)》는 살면서 반드시 한번은 읽어야 할 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난중일기》는 성웅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에 쓴 7년간의 일기로,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달인 1592년 5월 1일부터 그가 전사하기 전 달인 1598년 10월 7일까지의 기록이다. 일기의 친필 초고는 현재 충청남도 아산에 있는 현충사에 보관되어 있다. 본래 이 일기에는 어떤 이름도 붙어 있지 않았으나, 1795년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를 편찬하면서 편찬자가 편의상 ‘난중일기’라는 이름을 붙여 이 일기를 수록했다. 난세에 왜적을 무찔러 나라를 구하고 장렬히 전사한 충무공 이순신은 가공의 인물이 아닌 실존 인물이기에 그가 남긴 일기 역시 역사적인 사료로 큰 가치가 있다. 《난중일기》는 임진왜란의 참상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작품으로 2013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현재 국보 76호로 지정되어 있고, 역시 국보 132호로 지정된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과 더불어 임진왜란 기록물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난중일기》 속 정유년 9월 15일(양력 10월 25일)의 일기 내용 중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必死則生 必生則死)’는 글귀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마음을 비우는 삶의 자세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해주며, 충무공 이순신을 대표하는 명언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가 남긴 일기는 오늘날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에게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를 다하는 진정한 영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백성을 지키는 이순신의 애민 정신이 무엇인지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왜군과 맞서는 전투 기록과 더불어 당시 무능한 사대부와 부패로 물든 조선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도 곁들이고 있다. 풍전등화와 같은 나라의 운명 앞에 선 충무공 이순신의 인간적 고뇌가 담긴 《난중일기》를 소장하고 싶은 패브릭 재질을 수록한 더스토리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으로 함께 만나 보자. 三尺誓天 山河動色 삼척서천 산하동색 一揮掃蕩 血染山河 일휘소탕 혈염산하 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 한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인다. _충무공 장검의 칼날 한 면에 이순신 제독의 친필로 새겨져 있는 글귀

About the author

저자 : 이순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1545년 3월 8일(양력 4월 28일) 한성부 건천동(현재 서울 중구 인현동 1가)에서 태어났다. 사화로 몰락한 문반 가문의 네 형제 중 셋째이다. 순신이라는 이름은 중국 삼황오제의 순舜 임금에서 따온 것이다. 어려서 유학을 공부했고 21세 때 혼인한 이후 병학과 무예를 배우기 시작했다. 28세 때 처음 무과에 응시했으나 낙방했고 32세 때 식년 무과에서 병과丙科로 급제했다. 무관으로서 승진과 좌천, 파면과 복직을 거듭한다. 1591년 류성룡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제수되었다. 다음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 해전을 시작으로 사천 해전, 당포 해전, 당항포 해전, 율포 해전, 안골포 해전, 부산포 해전 등 크고 작은 전투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었다. 1598년 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에서 적탄에 맞아 전사했다. 선조 37년(1604년) 1등 선무공신에 책봉되었고, 인조 21년(1643년) ‘충무忠武’라는 시호를 받았다. 정조 17년(179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2년 뒤 《난중일기》를 포함해 그의 문집인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가 간행되었다. 역자 : 김문정 인천 부개고등학교에서 한문, 국어 교사로 재직 중이다. 번역한 책으로 《논어》, 《맹자》, 《대학·중용》, 《명심보감》, 《징비록》이 있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