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세대의 조용하고 우아한 주류로의 전환
MZ세대가 쓴 돈과 인생 이야기
『자본주의 키즈의 반자본주의적 분투기』는 자본주의 키즈이자 흔히 ‘MZ세대’라 불리는 1989년생 저자가 삶에 대한 자신의 명료한 세계관을 표출하고자 썼다. 현직 일간지 기자로서 세간의 세대론이 갖는 허위를 예민하게 느껴온 그는 이 책에서 직설적인 날것의 언어와 태도로 자기 세대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자본주의 키즈임에도 자신의 삶을 내밀하게 지배하고 있는 모토들이 사실 자본주의를 포함한 기성의 가치와 얼마나 불화하는지도 보여준다. 저자는 자기 세대의 모든 관점에 동의하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진보나 보수의 이념보다는 세대적 동질감을 더 강하게 느끼는 편이라고 고백한다.
그동안 세대론에 관한 책은 여러 권 있었다. 하지만 MZ세대가 소비, 경제, 투자, 돈, 환경, 생활, 배움, 자기계발, 동물윤리, 페미니즘 등을 한 권의 책에서 논한 적은 없다. 저자는 ‘자본주의 키즈’라는 명명을 거부하고 싶었지만, 자신의 생활을 돌이켜보면 영락없는 자본주의 키즈임을 깨닫는다. ‘꼰대’와 MZ세대의 경계를 곧잘 넘나들지만, 생활 방식을 관찰해보면 자신은 영락없는 ‘요즘 애들’이다. 세대론에 불편함을 느끼지만, 미증유의 시대를 가장 잘 개척해나가는 존재는 단연 ‘미증유의 세대’라고 여긴다.
이 책의 강점은 언뜻 모순돼 보이는 가치들을 한 몸에 체현하고 있는 저자(의 세대)가 가치충돌적인 점들을 제 방식대로 소화시킨 뒤 생존에 성공하면서도 다른 방식의 ‘윤리적 주체’로 나아감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한국일보 기자. 1989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에서 중어중문학과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 MBTI는 확신의 ENTJ.
글 쓰는 것을 업으로 둔 덕에 여러 책의 저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쪽방촌 탐사 보도 취재기를 다룬 첫 단독 저서 『착취 도시, 서울』을 썼고 일본과 타이완에 판권이 수출됐다. 동료 기자들과 함께 쓴 공저로는 『덜미, 완전범죄는 없다 2』 『디어 마더』가 있다. 기자로 활동하면서 ‘올해의 여기자상’과 ‘최은희 여기자상’ ‘이달의 기자상’ ‘올해의 데이터 기반 탐사보도상’ ‘한국온라인저널리즘어워드 대상’ 등을 받았다.
2021년부터 젠더 뉴스레터 ‘허스토리’를 만들어 발송하고 있다. 어떤 저항에 맞닥뜨리더라도, 누군가 꼭 해야 하는 말을 하는 것이 기자의 일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혼란한 세상에 화두를 던지는 글을 남긴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
페이스북 facebook.com/maylee.8907
트위터 twitter.com/_____her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