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컴퓨터과학을 공부하거나 기술 인터뷰를 준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실용적인 책입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빠르게 배울 수 있도록 실용적이고 중요한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합니다. 자료구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보다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 책은 웹 검색이라는 응용 분야에 집중합니다. 이 분야는 자료구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며 자체로도 흥미롭고 중요합니다. 다른 책에서는 보기 어렵지만 기술 인터뷰에 필요한 내용입니다. 또한, 버전 관리와 유닛 테스트 같은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실무 내용도 다룹니다. 장마다 배운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예제가 있고, 해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된 테스트도 제공합니다.
- 리스트와 맵 등의 자료구조 사용과 작동 방식 이해하기
- 위키피디아 페이지를 읽고, 분석하고, 결과 데이터 트리를 탐색하는 응용 프로그램 작성하기
- 코드를 분석하여 실행시간과 필요한 메모리양 예측하기
- 해시 테이블과 이진 검색 트리를 사용하여 맵 인터페이스 구현하기
- 크롤러로 웹 검색 엔진 구축하기
이 책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문제 풀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4개의 실습을 통해 자바 언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자료구조인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Java Collections Framework, JCF)의 주요 클래스를 중심으로 개념을 학습하고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며 성능을 측정해 봅니다. 또한, 성능 개선에 대해서도 알려 줍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는 아주 기본적인 작업입니다. 요즘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가 있고 이미 검증된 수많은 DBMS가 있지만, 단지 활용만 해서는 원하는 품질을 얻기 힘듭니다. 내가 잘 만들고 있는지, 이미 구현된 레거시 소프트웨어의 병목은 무엇인지 분석하려면 학부 과정에서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단단한 기본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졸업하고 나면 세부 내용은 모두 잊히겠지만, 머릿속 어딘가에는 남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이 책은 한 번에 후루룩 읽기에는 꽤 압축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꼭 설명해야 할 내용은 본문에서 충분히 설명하지만, 그 외 부가적인 내용은 과감하게 외부 링크를 제공합니다. 실습 과제를 먼저 제공하고 그다음 장에서 바로 필자의 해답을 제시하기 때문에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끝까지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된다고 확신합니다. - 옮긴이의 말 중에서
저자_ 앨런 B. 다우니
올린 공과대학교(Olin College of Engineering)의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웰즐리 대학교(Wellesley College)와 콜비 대학교(Colby College), UC 버클리 대학교(UC Berkeley)에서 강의하였습니다. UC 버클리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MIT에서 석사와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 책 외에도 『Think Stats』(2013), 『파이썬을 활용한 베이지안 통계』(2014, 이상 한빛미디어)를 집필하였습니다.
역자_ 유동환
책 쓰는 프로그래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경영정보학을 전공한 후 LG전자에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선행플랫폼개발팀으로 자리를 옮겨 차세대 모바일 기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바카페와 한국자바개발자협의회(JCO)의 초기 멤버로 수년간 활동하였습니다.
집필한 책으로는 『안드로이드를 위한 Gradle』(2016)과 『RxJava 프로그래밍』(공저, 2017, 이상 한빛미디어)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Professional Java Web Services』(2002, 정보문화사)와 『그레이들 레시피』(2016), 『Java 9 모듈 프로그래밍』(2018, 이상 한빛미디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