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밤에 꿈꾸다

· 창비시선 Book 431 · 창비 Changbi Publishers
4.0
1 review
Ebook
108
Pages

About this ebook

 “아침이 오지 못할 만큼 밤이 길지는 않았다”

당신과의 연둣빛 세상을 꿈꾸는 기품 어린 노래

 

 

1970년 등단 이래 반세기에 이르는 동안 견결한 시심으로 오롯이 시의 외길을 걸으며 우리 곁을 지켜온 정희성 시인의 신작 시집 『흰 밤을 꿈꾸다』가 출간되었다.

정희성 시인은 단정한 선비의 이미지와 “시 두편이면 일년 농사”(「임진각에서 얻은 시상」, 『돌아다보면 문득』)라는 과작의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김수영문학상의 제1회(1981년) 수상자이며, 대표적인 참여시인으로 활동해온 그의 시는 현실의 모순들로부터 눈 돌리지 않는 듬직함과 세상살이에서 길어올린 아름다운 면모를 두루 갖춤으로써 수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아왔다. 특히 두번째 시집 『저문 강에 삽을 씻고』(창작과비평사 1978)는 1970년대 민중시를 대표하는 문학적 성과로 평가되며, 표제시 「저문 강에 삽을 씻고」는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으로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이 시 외에 「숲」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등도 교과서 수록작이다.) 최근에는 1969년에 결성했던 ‘70년대’ 동인(강은교, 김형영, 윤후명 등)이 ‘고래’라는 이름으로 다시 모여(2012년) 활동을 재개하고 합동 시집을 내놓아 시단에 감동을 주기도 했다.

 

이번 시집 『흰 밤에 꿈꾸다』는 구상문학상(2014년) 수상작 『그리운 나무』(창비 2013) 이후 6년 만에 펴내는 일곱번째 시집이다. 세상을 향한 그윽한 시선과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 깃든 정갈한 시편들이 묵직한 감동을 선사한다. 한편 시집으로서는 이례적으로 한문학자 정민 교수의 발문을 수록했는데 종종 한시를 연상케 하는 시인의 기품 있는 시세계와 맞닿는 글로서 따스하게 다가온다.

 

 

정갈한 언어 안에 굽이굽이 담긴 세상사

 

표제작 「흰 밤에 꿈꾸다」가 그렇듯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우리에게 희미해진 ‘북방정서’를 환기한다. 그런 작품을 쓰게 된 표면적인 계기는 ‘시베리아 횡단열차’에서 목도한 풍경이되, 그 안에는 당연히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다. 또한 남북관계뿐 아니라 세월호참사와 탄핵 정국 등 근년의 정치적·사회적 국면에 대한 시적 발언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나 묵직한 소재만 다루는 것은 아니다. 시인은 사소한 일상에서 반짝이는 순간을 발견해내기도 하고, 자연의 크고 작은 풍광과 마주하면서 겸손해지기도 한다. 정민 교수가 발문에서 ‘받아쓰기 시론’이라고 주목했듯이 시인은 어린 손녀에서부터 주변 문우들, 심지어 나무와 새, 강 등으로부터 보고 들은 바를 고요하나 흥미롭게 전해준다.

시인은 ‘좋은 언어로 세상을 채우자’던 신동엽 시인의 말을 새삼 되새긴다. “내게 노래가 없다면/내게 꿈마저 없다면/나는 무엇인가”라고 되물으며 “마지막 한줌의 힘이 빠져나갈 때까지”(「독서일기 2」) ‘시’를 놓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순진무구한 마음과 온유한 사랑의 언어로 세상을 포용해온 시인은 시대의 어둠 속에 한점 희망의 불빛을 던지며 나직이 속삭인다. “그럼에도 사랑하기를!”

 

--------------------------------------------------------------------------------

 

[책 속에서]

 

무엇에 혈안이 되어 살아왔던가

충혈이 심해 안과에 가니

의사가 일회용 눈물을 처방한다

살아오는 동안 눈물이 바닥나버렸다

슬프다 슬픈 일을 당하고서도

눈물 한방울 흘릴 수 없게 되었으니

―「마른 눈물」 전문

 

남주는 시영이나 내 시를 보며 답답하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뉘 섞인 밥을 먹듯 하는 어눌한 말투가 마음에 들지 않았을 터이다 그러나 나는 죽었다 깨도 말과 몸이 함께 가는 남주 같은 목소리를 내기 어려울 것이다 (…) 아무래도 이건 무슨 변명 같기도 하고 비겁한 듯도 하고 하여튼 일찍 간 남주 생각을 하면 내가 너무 오래 누렸다는 느낌이다

―「남주 생각」 부분

 

오랜만에 만난 친구한테

별일 없었냐고 물었더니

 

나는 문제 없어

나라가 걱정이지

―「광장에서」 전문

 

이정표도 간판도 보이지 않는 이 꿈같이 긴

기차 여행을 내 생전에 다시 할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하며 지그시 눈을 감는데

누군가 취한 목소리로 잠꼬대처럼

“시베리아를 그냥 좀 내버려두면 안돼?”

소리치는 바람에 그만 잠이 달아났다

더 바랄 무엇이 있어 지금 나는 여기 있는가

좀처럼 잠이 올 것 같지 않았다

가까스로 밤에 이르렀지만

아침이 오지 못할 만큼 밤이 길지는 않았다

―「흰 밤에 꿈꾸다」 부분

 

어제는 비가 오더니

오늘은 쨍하고 해가 났다

가만히 창밖을 내다보던

아이가 혼잣말하듯

 

“햇빛 비치는 소리가 나네”

―「받아쓰기 1」 전문

 

--------------------------------------------------------------------------------

 

[추천사]

 

한국의 근대는 식민과 독재, 그들을 숙주로 재빨리 괴물로 성장해온 자본과 부당한 권력의 온갖 폭력과 불의로 만신창이가 되었다. 누군들 ‘혈안’이 되어 싸우지 않고는 건너올 수 없던 야만의 세월. 그 시절 어떤 허위와 과장, 허장성세와도 곁하지 않으며 단아하고 곧고 명징하던 선생의 시와 삶은 사람됨과 세상살이의 도리가 무엇인지를 가르쳐준 시대의 숨은 교과서였다. 그가 있었기에 멀리에서 두보를 찾을 까닭이 없었다. 그의 시와 삶이 지금 여기에 현존하는 연둣빛 고전이었다. 그의 시를 통해 우리는 끝내 좌절하지 않고 ‘저문 강에 삽을 씻고’ 다시 사람들의 마을로 돌아가는 아름답고도 숭고한 사람들의 새로운 공화국을 꿈꾸게 되었고, ‘질경이 나싱개 토끼풀 억새’ 같은 이름 없는 이들 역시 ‘꽃이야’라는 다섯살 민지의 벼락같은 말을 얻게 되었다. 그렇게 “평생 달려왔지만” “아직 도착하지 못”한 어떤 “황홀과 쓸쓸함 속”에서도(「가을의 시」) “마지막 한줌의 힘이 빠져나갈 때까지” 아름다운 노래와 서정을 잃지 않으리라는(「독서일기 2」) 선생의 염결 앞에서 끝내 엄격해야 할 삶의 까마득한 높이를 다시 배우게 된다. 얼마나 큰 용기가 있어야 우리는 지금 선생께서 넘어가고 있는 저 새로운 세계의 광야에 이를 수 있을까.

송경동 시인

-------------------------------------------------------------------------------

 

[시인의 말]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니 말에 가시가 돋친다.

시집을 묶으면서도 마음이 흡족하지 않다.

좋은 언어로 세상을 채우자던 신동엽 시인의 말이 문득 생각난다. 그 말이 나온 게 50년 전 일이니 내가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할 무렵의 일이다. 서글픈 일이지만 5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아직 그 지점에 서 있다. 아니 ‘아직’이 아니라 ‘이제사’라고 해야 옳겠다. 나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께 미안하다. 그동안 내가 부려먹은 모든 언어에게도.

 

2019년 늦봄

정희성

 

-------------------------------------------------------------------------------

 

[차례]

 

제1부

당신에게 / 연두 / 편지 / 동강할미꽃은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 안녕들 하십니까 / 남주 생각 / 바위를 밀쳐내다 / 봄나무 / 그런데 왜, 그런데도, 그런데 / 받아쓰기 1 / 그분 / 가보세 가보세 / 그러나 그게 무슨 문제란 말인가 / 그의 손 / 경칩 / 마른 눈물 / 그럼에도 사랑하기를 / 이별 1 / 이별 2

 

제2부

보길도 예송리 민박집에서 / 북방긴수염고래가 내게로 왔다 / 통점(痛點) / 수작 / 허무집(虛無集) / 나는 자연을 표절했네 / 바이칼에서의 이별 / 새 발자국 / 차라리 청맹이기를 / 낮술 / 국화를 던지다 / 반성 / 신현정 / 질문 / 그것은 참살 / 마음은 봄 /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 박씨

 

제3부

가을의 시 / 비밀 정원 / 받아쓰기 2 / 대인(大人) / 너븐숭이 / 꿈꾸는 나라 /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 북방에서 / 독서일기 2 / 무지개로 서다 / 장경호 화백의 말 / 유쾌한 식사 / 홍두깨타령 / 광장에서 / 시법(詩法) / 그네들만의 축제 / 영광

 

제4부

집에 못 가다 / 시인의 집에 가서 / 김사인 / 금광석 시인 / 품 / 예감 / 구절초 / 안거(安居) / 흰 밤에 꿈꾸다 / 주여 이 나라를 불쌍히 여기소서 / 헌화가 / 백제행 / 작은 별 / 독서일기 3 / 다시 연두 / 꼴라주 병신년 한국전쟁사

 

발문|정민

시인의 말



Changbi Publishers

Ratings and reviews

4.0
1 review

About the author

 정희성 鄭喜成

1945년 경남 창원에서 태어나 대전 익산 여수 등지에서 자랐다. 197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시집 『답청(踏靑)』 『저문 강에 삽을 씻고』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시를 찾아서』 『돌아다보면 문득』 『그리운 나무』를 펴냈다. 만해문학상, 김수영문학상, 육사시문학상, 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