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를 기르다

· 창비
5,0
2 reviews
E-boek
320
Pagina's

Over dit e-boek

3년 만에 출간되는 윤대녕의 신작 소설집 『제비를 기르다』. 뛰어난 감성과 감각적인 서사를 특징으로 개인의 내면에 집중하던 이전의 작품세계를 넘어서, 성숙한 삶의 지평을 향한 작가의 농익은 시선이 묻어나는 8편의 중단편이 묶여 있다. 특히 표제작인 「제비를 기르다」를 비롯하여 발표 당시부터 호평을 받은 작품들이 풍성하여, 윤대녕 단편 미학의 절정을 보여주는 작품집으로 꼽힌다. “윤대녕스러운 것에 이미 얼마간 중독이 되어 있는 이들에게도 중독자가 되길 잘했다는 은근한 기쁨과 자부심을 느끼게 해줄 것”(신경숙, 뒤표지글)이며, 이전에 발표했던 그 어떤 작품집에서보다 탁월한 성찰과 깊이를 느끼게 해준다.

윤대녕 소설이 이룩한 황홀한 깊이

초기 윤대녕 소설을 설명해주던 ‘감각’과 ‘내면’의 세계는 “십년 넘은 세월이 강물처럼 흘러”오면서 남과 여, 개인과 개인의 단수적인 관계가 아니라 복수적인 관계의 망 속에서 타인에 대한 연민과 애틋한 시선으로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태어나 만나고 사랑하고 헤어지고 병들고 죽음에 이르는 인간사에 대한 포용 혹은 긍정의 시선으로 충만하다. 이번 소설집에 실린 여러 작품에서 죽음을 앞둔 인물이 등장하지만(「탱자」 「제비를 기르다」 「편백나무숲 쪽으로」) 그들을 감싸고 있는 소설의 정조는, 슬픔은 슬픔이되 어둡지 않고 환하다.

표제작 「제비를 기르다」에서 강화도에서 자란 주인공의 어머니는 철마다 제비를 따라 집을 나가고, 아버지는 급기야 작부를 집에 들이기까지 한다. 아버지 손에 이끌려 갔던 술집에서 ‘문희’라는 이름의 작부를 만난 적 있던 ‘나’는 군에서 제대하는 길에 동명이인의 ‘문희’를 만난다. 여자란 모두 제비 같은 존재라는 어머니의 말대로, 문희는 떠나고 돌아오기를 반복하며, ‘나’는 그 옛날 ‘문희’ 할머니를 찾아 강화도로 간다. 어린시절 이해할 수 없었던 어머니의 가출과 때마다 돌아오고 날아가는 철새인 제비를 연결짓고, 이 관계망은 다시 연인이던 문희에게로 이어진다. “‘영원의 나라’처럼 충일한 생의 비의를 한번 보아버린 인간들이 무의미한 일상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세계에서 어떤 기다림 속에 살아간다는 이야기는 윤대녕 소설의 오랜 구도이다.”(정홍수 해설 「강물처럼 흐르다」) 그러나 그러한 구도가 생에 대한 추상적인 부정이나 환멸이 아니라 고단하고 힘겨운 삶을 좀더 넓은 지평에서 끌어안는 긍정의 자리로 열려 있기에 슬프고 쓸쓸하지만 애틋하고 웅숭깊다. 「탱자」에서도 마찬가지다. 열여섯의 나이에 첫사랑 선생과 눈이 맞아 야반도주했던 고모는 끝내 선생에게 버림받고 친정집에서 부엌데기로 살았다. 다시 결혼을 했지만 일찍이 남편을 잃고 외아들과 함께 살았다. 그런 고모가 30년 만에, 친정식구들 중 유일하게 자신을 연민의 눈길로 바라보던 조차를 찾아 제주도에 온다. 고모는 첫사랑 선생과의 추억이 어린 배추밭에서 목놓아 통곡하고, 한산에서 따온 탱자 대신 제주도의 노지 귤 몇개를 품고 서울로 돌아간다. 마치 고사(故事)의 ‘귤화위지’를 몸소 실현하는 듯한 고모는 제주도로 들어온 길부터 삶을 ‘정화(淨化)’시키는 여행을 시작했던 것이다. 「편백나무숲 쪽으로」에서 “생의 회한과 허무를 이겨내기 위한” 고단한 노동 끝에 병들고 지친 몸으로 35년 만에 옛집으로 돌아온 화자의 아버지는 아예 ‘대정(大靜/大定, 큰 고요함)’에 들고 싶다며 다시 떠나버린다.

헤어짐과 죽음과 눈물 앞에서 윤대녕 소설만큼 쓸쓸하면서 따뜻하기도 힘들지만, 낯선 남자와 여자의 우연한 만남을 윤대녕만큼 “감쪽같이 소설 속에 안착”시킬 수 있는 작가도 드물다. 「못구멍」의 기훈과 명해, 「마루 밑 이야기」의 병희와 윤정, 「낙타 주머니」에서 1년 만에 조우하는 주인공과 화가 이진호의 만남이 그러하다. 느닷없고 억지스러울 정도로 우연한 만남과 상황이 윤대녕 소설이 보는 인간사이고 세상이다. 모든 우연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런 세상을 보는 시선을 전체 서사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녹여내고, 더 나아가 또 다른 필연으로 확장시키는 재주가 탁월하다. 그래서 읽는 사람에게 거북살스럽게 느껴지기보다 필연적인 듯 전체 서사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연」에서 이야기의 발단은 소설 화자인 ‘나’가 북한산 하산길에 우연히 정연이라는 여자를 만나는 데에서 시작한다. 정연은 6년 전 봄날 그녀의 사촌언니 미선과 ‘나’의 친구 해운과 함께 만났고, 해운을 마음에 품고 있던 여자였다. 그러나 한달 뒤 미선과 해운이 돌연 함께 자취를 감추고 정연은 그들의 행방을 좇아 ‘나’를 찾아온다. 그들의 소식을 모르던 ‘나’는 그로부터 두 달 뒤 북한산에서 내려오다 우연히 해운과 마주치고 근처 진관사 아래 해운과 미선이 살고 있는 집으로 가서 점심을 먹는다. 그리고 6년 후에 다시 정연을 우연히 만나 함께 돌아가는 길에 구파발역 쪽으로 나오다 기자촌과 구파발로 갈라지는 지점의 공사구간에 이르러 유턴을 하자, 바로 6년 전 우연히 만난 해운의 집에 가는 길이 나온다. 갈림길이라는 지리지와 세 남녀의 엇갈린 만남을 우연과 운명으로 엮어내는 솜씨가 감칠맛 나는 대목이다.

“윤대녕 소설은 기어코 여기까지 왔다”

「낙타 주머니」처럼 너무 일찍 온 친구의 죽음을 떠나보내지 못하고 마음과 몸을 함께 앓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번 소설집에 나오는 죽음은 전반적으로 오히려 삶 쪽으로 열려 있으며 어떤 긍정의 순간을 품고 있다. 윤대녕 소설의 인물들은 죽음 앞에 이르러서 비로소 고단하고 회한에 찬 삶을 ‘정화’할 수 있는 순간과 만난다.

「작가의 말」에서 윤대녕은 “생의 한가운데를 어두운 숲처럼 더듬더듬 관통하면서 나는 ‘그 모든 어찌할 수 없음’에 대한 억누를 수 없는 그리움을 자주 체험했다. 삶의 정체는 결국 그리움이었을까?”라고 묻는다. 강물처럼 흘러온 십년의 세월을 넘어 윤대녕 소설은 때로는 슬프게, 때로는 쓸쓸하게 그리움에 사무쳐 삶을 돌아보지만 결국에 다다른 깊이는 따뜻하고 아름답다 못해 황홀할 지경이다.

Changbi Publishers

Beoordelingen en reviews

5,0
2 reviews

Over de auteur

1962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났다. 1990년 『문학사상』신인상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1994), 이상문학상(1996), 현대문학상(1998), 이효석문학상(2003)을 수상했다. 소설집 『은어낚시통신』 『남쪽 계단을 보라』 『많은 별들이 한곳으로 흘러갔다』 『누가 걸어간다』, 장편소설 『옛날 영화를 보러갔다』 『미란』 『눈의 여행자』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산문집 『그녀에게 얘기해주고 싶은 것들』 『어머니의 수저』 등이 있다.

Dit e-boek beoordelen

Geef ons je mening.

Informatie over lezen

Smartphones en tablets
Installeer de Google Play Boeken-app voor Android en iPad/iPhone. De app wordt automatisch gesynchroniseerd met je account en met de app kun je online of offline lezen, waar je ook bent.
Laptops en computers
Via de webbrowser van je computer kun je luisteren naar audioboeken die je hebt gekocht op Google Play.
eReaders en andere apparaten
Als je wilt lezen op e-ink-apparaten zoals e-readers van Kobo, moet je een bestand downloaden en overzetten naar je apparaat. Volg de gedetailleerde instructies in het Helpcentrum om de bestanden over te zetten op ondersteunde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