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가 역설했듯이 창조경제는 가시적 성과로 창조성에 의한 부의 창출을 경제성장의 원천으로 삼는 것 외에도 거시적 안목에서 건강한 창조 생태계 형성을 목적으로 삼는다. 우리나라도 2013년 새 정부가 출범한 이래 창조경제를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있다. 창조경제는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 가치로 두고 새로운 부가가치, 일자리, 성장 동력을 만들어 내는 경제로 정의하고 있다.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창조경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창조산업부터 창조생태계까지 다섯 가지 키워드의 개념들을 살펴본다. 또 창조경제의 방법론으로 문화융성을 실현하기 위해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문화지능 등도 알아본다.
?
차례
01창조산업
02창조계급
03창조도시
04문화콘텐츠
05창조생태계
06문화융성
07문화 다양성
08상호문화주의
09문화지능
10창조유럽
홍종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외래교수다.
독일 트리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비교문화경영학과 유럽연합학을 전공하여 유러피언 비즈니스(European Business)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유럽연합(EU)의 문화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을 맡아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유럽연합(EU)의 문화산업과 문화정책??(2012),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공저, 2011), ??상상력과 문화콘텐츠??(공저, 2013), ??(키워드 100으로 읽는)문화콘텐츠 입문사전??(공저, 2013), 주요 논문으로는 “창조유럽(Creative Europe)과 창조경제의 문화 아젠다”, “창조경제 시대의 문화산업과 지역문화정책”, “EU 문화정책 아젠다 속에 나타난 글로컬라이제이션”, “상호문화능력으로서 문화지능 개념에 관한 고찰”, “유럽의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