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이후 독일의 인구는 엎치락뒤치락하다가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한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경작지의 수요도 늘어났다. 이 문제의 해결책 가운데 하나가 15세기부터 해 온 간척 사업이었다.
간척 사업에는 제방 축조가 필수적이었다. 해안 가까운 곳에 섬이 없는 경우 방파제를 쌓아 봤자 몰아치는 파도에 제방이 상하기 쉬웠다. 때문에 파도를 막아 주는 섬이나 갯벌이 제방의 입지 조건으로 유리했다.
간척 사업은 중세 때부터 네덜란드와 북해 연안을 따라 널리 시행되었으며 1610년경부터는 투기 조짐까지 보일 정도였다. 소택지에는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를 입지 않도록 땅을 둔덕지게 돋우어 집터를 조성했다. 하우케·엘케 부부의 집이 있는 언덕이 바로 그런 곳이다. 그 아래에는 보통 도랑으로 경계를 만든 습지 풀밭이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소택지 촌락은 건조한 고지대 마을과 대조되기 마련이다. ≪백마의 기수≫에는 이러한 지형과 풍습, 북해의 개펄, 바다 풍경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