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 장금은 어려서 부모를 잃고 궁궐에 들어가 나인이 된다. 최고 상궁이 되라는 어머니의 유언을 지키기 위해서이다. 장금은 궁궐에서 어머니가 궁녀였을 때 친구였던 한 상궁을 만나 가르침을 받는다. 그리고 어머니를 죽이려 했던 최 상궁의 미움을 받아 죽을 뻔한다. 하지만 장금은 모든 어려움을 이기고 최상궁의 죄를 밝힌다. 그리고 어머니와 한 상궁의 억울함을 풀어 준다. 장금은 결국 어머니가 원하던 최고 상궁이 되고, 왕을 보살피는 최고의 의원이 된다.
이 책에는 전체 54부 중에서 세 개의 부만 골라서 담았다. 1부에는 전체 중 제4부(장금이 한 상궁을 만나다)를 담았다. 2부에는 제21부(경합에서 승리하다)를 담았고, 3부에는 제48부(최 상궁의 최후)를 담았다. 각 부에서도 모든 장면을 제시하기가 어려워서 일부 장면들만 골라서 담았다. 따라서 장면의 번호를 살피면서 읽는 것이 좋다.
<대장금>은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 쓴 대본이다. 그래서 드라마로 만들 때 필요한 여러 가지 약속을 기호로 표시했다. 이 책에서는 꼭 필요한 몇 가지 기호만 골라서 표시했다. 그 기호는 다음과 같다.
‘S’는 ‘장면’이라는 뜻이다. 같은 장소에서 일어나는 말과 행동을 표시한 것이다.
‘E’는 ‘효과음’이라는 뜻이다. 장면을 실제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넣는 소리이다. 인물의 대사 중에 나타난 E는 인물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말만 들릴 때 사용한다.
‘OL’은 ‘화면이 겹치면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인물의 대사 중에 나타난 OL은 앞 사람의 말이 끝나기 전에 급히 나서서 말할 때 사용한다.
차례
이 책을 읽는 분들께?
미리 읽어 보기?
작가 알아보기?
1부 어린 장금과 한 상궁의 만남
1. 창고에 갇힌 장금과 연생?
2. 장금과 한 상궁의 첫 만남?
3. 장금을 시험한 한 상궁?
4. 장금을 아끼게 된 한 상궁?
2부 최 상궁을 이긴 장금
5. 장금의 떡갈비와 최 상궁의 큰새우구이?
6. 최 상궁의 새끼돼지찜과 장금의 닭구이?
7. 장금이 바친 최고의 음식?
8. 최고 상궁이 된 한 상궁?
3부 최고 상궁이 된 장금
9. 감옥에 갇힌 금영?
10. 최 상궁을 꾸짖은 장금?
11. 최 상궁의 죽음?
12. 최고 상궁이 된 장금?
참고 문헌?
단어 목록?
시리즈 소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을 위한 책입니다.?
재미있게 읽으면서 한국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읽기 책을 만들었습니다.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외국인, 한국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해외 교포, 한국어를 배우는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한국어 읽기 수준에 꼭 맞추었습니다.?
한국에서 널리 읽히는 문학작품을 한국어 학습자의 실력에 맞게 다시 썼습니다. 단어와 문장을 읽기 수준에 맞추고 어려운 단어의 뜻을 풀이했습니다. 모르는 단어를 만나도 문제없이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읽기 수준은 세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자기에게 맞는 책을 골라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모든 문장 형태를 만날 수 있습니다.?
모두 100권입니다. 옛날이야기, 신화, 고전소설, 현대소설, 동화, 시, 수필, 희곡, 시나리오, 편지 등을 다양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위대한 인물과 오늘날 한국 사회의 모습도 만날 수 있습니다. 한 권씩 읽는 동안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어 더 높은 단계의 책도 쉽게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먼저 읽는 책 ★’ 50권에는 책의 배경지식이 될 만한 그림과 사진을 정성껏 골라서 실었습니다. ‘나중에 읽는 책 ★★’과 ‘끝에 읽는 책 ★★★’ 50권에는 한국의 유명한 인물과 한국의 다양한 사회 모습을 풍부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심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
한국어읽기연구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어 읽기 자료를 개발하고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김병희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로 서울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한신대학교에서 기독교 문학과 예술을연구했으며, ≪시조문학≫에 현대시조 작품에 대한 해설을 집필했습니다. 한국어 교열 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왔으며, 한국어 읽기 자료의 개발과 개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지나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로 한국어와 한국시를 가르치고 있으며, 학이시습에서 한국어교육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백석 시의 원전비평으로 서울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런던대학교와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연구하면서 한국어를 가르쳤습니다.
임은하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한국어교육 과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교육부장으로서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한국어를 오랫동안 가르쳤고,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최현주
신소설의 범죄 서사를 연구하여 서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신소설 연구를 계속하여 박사후과정도 마쳤습니다. 이후 대학에서 글쓰기와 문학을 가르치다가외국인 학생들을 만나면서 한국어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문학을 통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다가가는 길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지훈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 대우전임강사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에서 한국어와 국어학을 가르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