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저는 제주도에서 산 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서울에서 자라고 학교를 다녔으며, 직장 생활도 서울에서 했지요. 휴가를 즐기기 위해서 제주도 여행을 자주 하다가 제주도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고, 결국 제주도에서 살기로 결심했답니다. 저뿐만 아니라 이렇게 제주도가 좋아서 제주도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원래 서울에서 사업을 시작했으나 제주도로 본사를 옮기는 회사들도 있고요.
제주도는 한국의 대표적 휴양지로, 깨끗한 자연과 오염 없는 환경을 자랑합니다. 어디에 있든지 웅장한 한라산을 바라볼 수 있고, 어디서든 차로 15분 정도만 가면 푸른 바다를 만날 수 있습니다. 풀이 많고 넓은 초원 지대도 많아서 말과 노루가 뛰어다니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키 큰 나무가 많은 숲에서 산책을 즐길 수도 있습니다. 제주도에는 휴양림과 수목원도 많습니다. 가까운 바다에서 잡히는 싱싱한 해산물, 가까운 곳에서 재배되어 바로 식탁에 오르는 신선한 채소 같은 먹을거리도 좋지요.
아직 제주도에 와 보지 않은 분이나 제주도가 멀고 낯설게만 여겨지는 독자 여러분께 제주도의 멋진 모습을 알려 드리고 싶습니다. 준비 없이 떠나는 여행도 좋지만 미리 알아보고 계획을 세운다면 여행이 훨씬 재미있지 않을까요? 이 책이 여러분의 견문을 넓히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차례
이 책을 읽는 분들께?
미리 읽어 보기?
1부 제주도의 지리와 특징
1. 지리적 위치와 특성?
2. 제주도의 탄생?
3. 도시와 마을의 형성?
4. 제주도의 사계절?
5. 유네스코 3관왕에 빛나는 제주도?
2부 제주도의 역사와 민속
1. 삼무, 삼다의 섬?
2. 독특한 언어와 풍습?
3. 돌하르방 이야기?
4. 해녀 이야기?
3부 제주도 관광
1. 걷기 여행?
2. 한라산 등반, 오름 오르기?
3. 자전거 일주?
4. 승마, 낚시, 해양 스포츠 등?
5. 갤러리와 박물관 찾기?
6. 먹을거리 탐방과 쇼핑?
참고 문헌?
단어 목록?
시리즈 소개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을 위한 책입니다.?
재미있게 읽으면서 한국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읽기 책을 만들었습니다. 한국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외국인, 한국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해외 교포, 한국어를 배우는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자녀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한국어 읽기 수준에 꼭 맞추었습니다.?
한국에서 널리 읽히는 문학작품을 한국어 학습자의 실력에 맞게 다시 썼습니다. 단어와 문장을 읽기 수준에 맞추고 어려운 단어의 뜻을 풀이했습니다. 모르는 단어를 만나도 문제없이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읽기 수준은 세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자기에게 맞는 책을 골라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모든 문장 형태를 만날 수 있습니다.?
모두 100권입니다. 옛날이야기, 신화, 고전소설, 현대소설, 동화, 시, 수필, 희곡, 시나리오, 편지 등을 다양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위대한 인물과 오늘날 한국 사회의 모습도 만날 수 있습니다. 한 권씩 읽는 동안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어 더 높은 단계의 책도 쉽게 읽어 나갈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먼저 읽는 책 ★’ 50권에는 책의 배경지식이 될 만한 그림과 사진을 정성껏 골라서 실었습니다. ‘나중에 읽는 책 ★★’과 ‘끝에 읽는 책 ★★★’ 50권에는 한국의 유명한 인물과 한국의 다양한 사회 모습을 풍부하게 담았습니다.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심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
한국어읽기연구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어 읽기 자료를 개발하고 연구하는 모임입니다.
김병희
한국 현대 성장소설 연구로 서울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한신대학교에서 기독교 문학과 예술을연구했으며, ≪시조문학≫에 현대시조 작품에 대한 해설을 집필했습니다. 한국어 교열 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해 왔으며, 한국어 읽기 자료의 개발과 개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지나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로 한국어와 한국시를 가르치고 있으며, 학이시습에서 한국어교육 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백석 시의 원전비평으로 서울여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런던대학교와하버드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연구하면서 한국어를 가르쳤습니다.
임은하
서울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학부와 대학원에서 한국어교육 과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교육부장으로서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한국어를 오랫동안 가르쳤고,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최현주
신소설의 범죄 서사를 연구하여 서강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신소설 연구를 계속하여 박사후과정도 마쳤습니다. 이후 대학에서 글쓰기와 문학을 가르치다가외국인 학생들을 만나면서 한국어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문학을 통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다가가는 길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지훈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 대우전임강사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에서 한국어와 국어학을 가르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