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은 국어학이나 국문학의 연구 방법이 아닌 독자적인 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을 체계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그래야만 국어교육 연구가 내용과 방법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국어학이나 국문학의 연구 방법만 가지고는 국어교육의 연구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 책의 목적은 일반적인 교육연구 방법을 국어교육에 적용시킨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국어교육 연구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국어교육을 연구하고자 하는 석·박사 과정 이상의 연구자들에게 좋은 안내서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흔히 연구자들은 국어교육 연구 방법을 익힐 기회가 없어 연구자가 연구 방법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연구를 진행하거나 혹은 통계 조작이나 통계 해석의 오류 등으로 연구의 타당성을 떨어뜨리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또한, 연구 내용의 깊이가 정돈되지 못하거나 피상적이고 상투적인 연구 내용을 통계적 장치만으로 포장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연구의 가벼움에 대한 비난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역시 그 연구자들이 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을 익힐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국어교육 현장 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자가 연구 방법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연구 설계나 연구 과정이 타당성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연구 주제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많다. 연구 주제와 문제를 밝히기 위해 그에 관련된 연구 활동을 전개해야 하는데, 연구 방법에 대해 학습을 충실히 하지 못함으로써 이러한 오류에 빠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국어교육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국어교육의 연구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어교육이 학문적 체계를 더욱 명확하게 수립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 연구자들이 연구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기획되고 집필되었다. 이 책이 모든 국어교육 연구 방법론을 완전하게 제공해 줄 수는 없겠지만, 국어교육을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국어교육 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실행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