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질문은 인간이 던질 수 있는, 삶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성찰이다. 인류 역사 이래로 많은 철학자와 문학가들이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으려 애써 왔다. 톨스토이는 말년에 심취한 기독교 휴머니즘 사상에서 그 해답을 찾으려 했다. 그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힘은 남에 대한 배려와 관심, 그리고 선한 행동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했다.
세상을 구원하는 유일한 힘, 사랑!
톨스토이는 러시아의 전설이나 민담을 재해석해 인간의 내면을 밝히는 불멸의 고전들을 썼다.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사람들에게 도덕적, 종교적, 교화적인 내용을 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쓴 단편들은 인간으로 태어나 진정한 행복을 누리는 참다운 삶이 무엇인지를 독자에게 일깨워 준다.
Leo Tolstoy (1828~1910)
남부 러시아 툴라 근처에 있는 영지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명문 백작 집안의 4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일찍 부모를 잃고 고모의 후견으로 성장하였다. 카잔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다가 인간의 자유로운 창의성을 억압하는 대학 교육에 회의를 느끼고 중퇴하였다.
말년에 그가 속한 귀족 사회와 정부, 그리고 종교의 타락을 바라보며 스스로 실천함으로써 개혁을 시도하였다. 그래서 자신의 영지를 소작인들에게 나누어 주고 귀족으로서 누리는 많은 특혜를 버리려고 하였다. 마침내는 귀족의 지위와 지주 생활을 청산하고 모스크바의 빈민굴을 체험했으며, 대기근에 시달리는 농부들을 돕기 위한 캠페인에도 앞장섰다.
그러나 자신의 사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가족들과 귀족사회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1910년 10월 가족들 몰래 가출하였으며, 그해 11월 라잔우랄 철도의 작은 간이역 아스타포브(오늘날의 톨스토이역) 역장의 관사에서 숨을 거두었다.
톨스토이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외에도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이반 일리치의 죽음》, 《부활》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