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차시별 수업 목표와 주제에 따라 활용 도구를 제시하고, 도입, 전개, 정리 단계별 교수 학습과정안까지 정리되어 있다. 학생 활동지와 함께 학생들의 최종 결과물 예시까지 담겨있어 현장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용서이다.
디지털 도형 작도하기, 수학만화 제작하기, 순환소수 적용하여 디지털 작곡하기, 양반전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기, 서양음악 작곡가의 삶과 음악을 만화로 정리하기, 디지털 도구 활용 토양과 호수 되살리기 프로젝트 수업하기, 디지털 도구로 나만의 창의적 주기율표 만들기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흥미롭게 주제 수업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협회 출간사]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세계 역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만큼 엄청난 기적을 이루어냈습니다. 경제 분야에서 시작된 발전은 사회, 문화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어 이제는 전 세계가 부러워하는 문화 콘텐츠 선진국이자 수출국이 되었습니다. 자원도 없는 나라에서 전후 이러한 기적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은 교육의 힘이었다고 확신합니다. 교육계의 많은 분이 헌신해온 결과 인재를 자원 삼아 부국이 될 수 있었습니다.
최근 교육계를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습니다. 어떤 영역이나 문제와 비판은 있기 마련입니다. 교육계도 마찬가지겠으나, 최근 이어지는 비판의 강도와 내용이 과거와는 좀 달라 보입니다. 과거의 비판이 제도의 실효성을 중심으로 한 가치판단의 문제였다면, 최근에는 교육의 본질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습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사회가 급변하고 있고 인간의 노동가치도 재정립되고 있으므로 교육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 때문에 '미래 교육'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스마트 교육이 중요한 화두로 등장했지만, 전산 네트워크, 컴퓨터 등 하드웨어 장비,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와 같은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고 많은 예산이 필요한 터라 충분히 마련하는 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사실 더 큰 문제는 콘텐츠입니다. 앞서 인프라가 구축되었다 하더라도 막상 교과별 교육 콘텐츠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최근 전국 시도교육청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워낙 큰일이다 보니 교육 콘텐츠를 준비하는 데까지는 엄두를 못 내는 것 같습니다.
안타깝게도 학생은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와 부담은 고스란히 현장에 있는 선생님들의 몫입니다. 협회는 교사 연수를 통해 만난 여러 선생님으로부터 이러한 고충을 접하게 되었고, 선생님들의 갈증에 작은 단비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책을 기획,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다섯 분의 선생님을 전문위원으로 모시고 다섯 과목별로 학교 현장에서 실제 적용해보실 수 있도록 디지털 활용 미래 교육 안내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책이 더 많은 분들께 전달될 수 있도록 무료 E-Book으로 출간하는 데 동의해주시고, 지난 8개월간 열정과 헌신으로 함께 해주신 다섯분의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현장의 많은 선생님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現 (사)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공동대표
KCMG 한국갈등관리본부 대표
펍23 공익마케팅협동조합 이사장
인컴브로더 글로벌 PR컨설팅 회사 대표
금강기획 광고 AE
LIFE 자살예방 비영리단체 공동대표
EBS 사회공헌 전문위원
現 (사)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공동대표
現 (사)한국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 부회장
現 (사)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이사
(재)행복한웹앤미디어 상임이사
웹어워드코리아 심사위원
EBS 시청자위원
최우성
경기도 수학교사
교육학 석사
전국교육연합네트워크 공동대표
한국교사학회 정책실장
전국선플교사협의회 홍보국장
과정중심평가 공저
이지영
대구 국어교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화치료학 석사
교사전문학습공동체 대구비주얼싱킹연구회 운영위원
대구 협력학습지원단
수업이 즐거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공저
양철진
경기도 도덕 교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세계시민교육 중앙선도교사
미디어교육 연구개발공동체 '미·동' 대표연구위원
‘함께잘삶’ 교육복지 NGO 설립추진위원
정미애
대구미래교육연구원 파견교사
교육학 박사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
중등 음악과 연구교사(수업 발표대회 1등급)
창의적 수업
학교예술교육
STEAM, 인성교육 선도교사
채정희
대구 고등학교 화학교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 석사
대구 교육과정연구회 회원
대구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연구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