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와 언론

· 커뮤니케이션북스
E-knjiga
148
Broj stranica

O ovoj e-knjizi

최근 사회 전반에서 양질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가운데 전 영역에 걸쳐 빅데이터, 데이터마이닝 등의 활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저널리즘 영역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저널리즘’이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 저널리즘은 데이터를 이용한 보도로 데이터의 객관성에 힘입어 뉴스 콘텐츠의 질을 높이고, 언론 산업의 활성화도 추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방대한 데이터에서 중요한 정보를 선택해 이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정보의 공유, 개방, 협업으로 저널리즘의 르네상스를 예측하기도 한다. 데이터 저널리즘의 기본 개념, 발생 배경, 현황, 향후 방향 등을 살펴보고 뉴스 콘텐츠 경쟁력 제고 방안도 알아본다.

?

차례

01데이터 저널리즘 개요

02데이터 저널리즘의 역사와 배경

03데이터 저널리즘의 국내 현황

04데이터 저널리즘의 해외 현황

05데이터 저널리즘의 학문적 연구

06데이터 저널리즘의 성공 사례

07데이터 저널리즘의 다양성

08데이터 저널리즘, 빅데이터 2.0, 정부 3.0

09데이터 저널리즘의 방향

10데이터 저널리즘의 단점과 한계

O autoru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Interaction Science)학과 교수이며 학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미국 시라큐스대학교에서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HCI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에서 이사를 역임했거나 맡고 있다.

≪정보통신 정책(Telecommunications Policy)≫,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 인간행동(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컴퓨터와 인간행동(Computers in Human Behaviors)≫, ≪정보기술과 인간(Information Technology and People)≫, ≪모바일커뮤니케이션(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인포(Info)≫, ≪인간 컴퓨터 인터랙션(Human Computer Interaction)≫ 등 다수의 SSCI 국제저널 편집위원이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정보통신정책·경영, 스마트 콘텐츠 분야의 연구를 통섭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Ocijenite ovu e-knjigu

Recite nam šta mislite.

Informacije o čitanju

Pametni telefoni i tableti
Instalirajte aplikaciju Google Play Knjige za Android i iPad/iPhone uređaje. Aplikacija se automatski sinhronizira s vašim računom i omogućava vam čitanje na mreži ili van nje gdje god da se nalazite.
Laptopi i računari
Audio knjige koje su kupljene na Google Playu možete slušati pomoću web preglednika na vašem računaru.
Elektronički čitači i ostali uređaji
Da čitate na e-ink uređajima kao što su Kobo e-čitači, morat ćete preuzeti fajl i prenijeti ga na uređaj. Pratite detaljne upute Centra za pomoć da prenesete fajlove na podržane e-čitač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