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찰

·
· 책세상
Libro electrónico
228
Páginas

Acerca de este libro electrónico

1. 근대 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 전쟁의 시대를 ‘성찰’하며 철학의 혁신을 이루다

근대의 출발점,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을 대표하는 저작《성찰》(1641)의 새로운 완역본(라틴어 원전 번역으로는 두 번째)이다. 데카르트는 평생을 프랑스 종교 내전과 30년 전쟁의 틈바구니에서 살면서 철학 대 신학, 구교 대 신교, 구교 내 개혁과 보수로 대립하던 사상의 전선을 마주해야 했다. 이성 없는 신앙은 광기와 살육으로 이어진다는 시대의 교훈 앞에서 그는 이성에 기초한 소통의 단초를 찾기 위해 인간 내면을 성찰했다. 이 책은 모든 것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해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학문의 토대를 발견하고, 다시 그 모든 것을 의심에서 해방시키는 정신의 자기 성찰 과정이다. 이것은 곧 ‘생각하는 자아’를 철학의 제일원리이자 근대적 주체로서 발견하는 철학의 혁신 과정이기도 하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라는 코기토Cogito 명제는 데카르트의 이상적 인간관이자 공동체 구성 원리였고 정치관, 종교관이자 학문론이었다. 이 책을 통해 이전의 철학적 주제들은 새롭게 정비되었고,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누구도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게 하는 사유의 혁명이 이루어졌다. 데카르트의 ‘성찰’은 현실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묻고 따지는 사유의 방식이자 고립된 주체 간의 소통의 길을 모색하는 철학의 근본 행위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과정과 결실을 보여준다.

또한 옮긴이는 해제에서 데카르트의 삶과 시대와 사유를 총체적으로 조감하는 한편 당대로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데카르트가 유럽 철학사에 미친 영향을 소개함으로써 데카르트 철학의 역사적·철학적 의미를 섬세하게 드러내고 있다. 데카르트의 전사(前史)에서 시작해《성찰》의 주제와 방법론의 혁신적 의미를 거쳐 최근의 연구 동향 및 현재적 의미로 이어지는 해제는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완결된 텍스트로서, 데카르트 철학 및 근대 철학사 이해를 위한 길잡이로 손색이 없다.


2. 젊은 학자의 새로운 번역, 거인의 어깨에 올라선 난장이를 꿈꾸다

명확한 논증 구조를 확보하라 ― 인과관계에서 부연 설명으로

이 책은 데카르트의《성찰》의 국내 두 번째 라틴어 원전 번역본이다(1970년 故 최명관 교수가 처음 번역 출간한 이후 다양한 번역서가 출간되었으나 라틴어 원전 번역은 1997년 출간된 이현복 교수의《성찰 외》(문예출판사)가 최초의 것으로 간주된다). 이번 번역은 그동안 출간된 국내 번역 및 연구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고 데카르트가 생전에 직접 교정을 본 프랑스어본 및 그 외 다양한 현대어 번역본들을 참고함으로써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되 그것을 발전적으로 넘어서고자 한 젊은 학자의 노력과 포부를 담고 있다.

이번 번역의 특징은 기존 번역서에 비해 논증 구조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주력했다는 데 있다. 논증 과정에서 전제와 귀결, 원인과 결과 사이의 관계를 더욱 분명히 한 것이다. 특히, 기존 번역서의 경우 ‘(왜냐하면) ~때문이다’라는 원인문이 자주 등장하지만, 앞 문장과 관계를 따져보면 두 문장 사이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대목들은 라틴어 접속사 nam, enim 등을 강한 원인문으로 번역한 예들이 대부분인데, 이 접속사들은 앞 문장의 정당화를 위해 사용하는 접속사임에 틀림없지만, 결정적 원인이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앞 문장을 정당화하기보다는, 주로 앞 문장을 강조하거나 상술 및 부연 설명을 함으로써 정당화하는 데에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nam은 예시를 통한 정당화 목적(즉 ‘예컨대’)으로 쓰이기도 한다. 더욱이 데카르트는 원인문을 끌어올 때 확실히 cum, quia, quod 등의 접속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문 내에서 일관되게 원인문과 부연 설명의 용례를 가려낼 수 있는 편이다.

따라서 이번 번역에서는 nam, enim의 경우 대개 ‘다시 말해’, ‘(자세히) 말하자면’이나 ‘예컨대’로 옮겼고, 문맥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경우에는 아예 생략하기도 했다. 이로써 앞 문장에 대한 상술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되었으며, 원인문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필연성이 돋보이게 되었다.


새로운 한글 번역어 채택 - ‘명석 판명한’에서 ‘맑고 또렷한’으로

이번 번역의 또 다른 특징은 데카르트의 사상과 관련해 기존에 통용되던 학술 용어들 가운데 몇몇을 좀 더 이해하기 쉬운 한글 번역어로 대치한 데 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그동안 ‘명석 판명한’이라고 옮겨왔던 ‘clarus & distinctus(영역 clear & distinct)를 ‘맑고 또렷한’으로, ‘연장(延長)’으로 옮겨왔던 ‘extensio(영역 extension)’를 ‘펼쳐있음’으로 옮긴 것이다.

옮긴이는 무엇보다 데카르트의 정의에 더 가까운 표현이 무엇인가를 고민했다. “바라보는 눈에 현존하여 눈을 충분히 강하고 분명하게 자극하는 것들을 우리가 명석하게 본다고 말하듯이, 나는 집중하고 있는 정신에 현존하며 드러난 지각을 명석한 지각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나는 명석하기 때문에 다른 모든 것과 잘 구별되어 단지 명석한 것만 담고 있는 지각을 판명한 지각이라고 부른다.”(데카르트,《철학의 원리》, 원석영 옮김, 아카넷, 2002). 여기서 보듯 옛 번역어와 새 번역어를 대치해도 의미에 전혀 손상이 없으며, 한자어 의미에서도 명석(明晳)은 ‘맑고 밝음’, 판명(判明)은 ‘다른 것과 구분되는 분명함’을 뜻하기 때문에 투명하고 깨끗함을 나타나는 ‘맑음’과 흐리지 않고 분명함을 뜻하는 ‘또렷함’으로 대치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각각의 반대말을 떠올릴 때 새 번역어의 설득력이 높아진다. clarus & distinctus ↔ obscurus & confusus(영역 obscure & confused). 이 반대말은 ‘어둡고 흐리고 탁한’ 및 ‘헛갈리고 엉클어지고 뒤섞인’을 의미한다. 한글 번역어를 사용할 경우 학술 용어로서의 지위가 손상된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으나, 유럽의 많은 철학자들이 일상용어를 그대로 가져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서 학술 용어로 사용해왔고, 이는 데카르트의 ‘clarus & distinctus’도 마찬가지다. 오히려 ‘맑고 또렷한’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기존 한글 표현을 깊이 있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extensio’(물질적 사물의 공간상에 펼쳐져 있는 본질적 특성)의 번역어 ‘연장’ → ‘펼쳐있음’의 경우도 다양한 관점에서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연장은 ‘시간’을 길게 늘이거나 미루는 의미까지 포함하지만 데카르트는 extensio를 엄격하게 ‘공간적’ 펼쳐 있음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시간적 연장은 ‘지속성duratio’이라는 표현을 별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여러 용어들이 새롭게 옮겨졌으며, 필요한 경우 옮긴이주를 달아 새로운 번역의 의미와 근거를 설명했다.


3. 철학적 방법론의 혁명을 통해 형이상학을 정비하고 인식론의 지평을 열다

신의 실존, 영혼과 신체의 구분, 영혼의 실존과 불멸 등을 다루는 이 책은 주제로만 보면 이전의 형이상학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책의 구성과 문체, 기술 방식, 방법론 등에서 철학의 역사를《성찰》이전과 이후로 나눌 만큼 큰 혁신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적 혁신을 통해 ‘생각하는 자아’라는 철학의 제일원리를 제시하고 과거의 형이상학을 인식의 순서에 맞추어 새롭게 정비함으로써 인식론이라는 근대 철학의 새 지평을 열었다.

우선 문체 면에서 데카르트는 중세 이후 형이상학의 전통으로 굳어졌던 아리스토텔레스의《형이상학》에 관한 주해서 형식을 탈피해 권위에 의존하지 않은 채 자유로우면서도 논리적으로 자신의 사유를 개진했다.

이러한 문체의 특징은 몽테뉴가 창안한 ‘에세essai’ 형식에 힘입은 것인데, 데카르트는 인간의 ‘의식’ 경험을 기술함으로써 몽테뉴보다 더 깊이 인간의 내면으로 침잠했다.

그리고 데카르트는 ‘발견의 순서’에 따라, 즉 사유의 가장 쉬운 단계에서 점차 어려운 단계로 이행하며 기술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이전의 철학자들과 다른 순서로 철학을 했다. 이는 읽는 사람이 사유의 상승을 함께 체험하고 최종적 깨달음에 동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글쓰기 방식이다.

데카르트는 또 신, 세계, 자아를 성찰하면서 신의 창조 질서가 아니라 자신의 지각 순서를 따랐다. 형이상학적 전통을 답습하지 않고, 모든 것을 의심할 수 있다고 가정한 뒤 자신이 의심의 여지 없이 확신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것을 인식의 출발점으로 삼아, 그 밖의 다른 인식들로 확장해나간 것이다.

이 ‘방법적 회의’로부터 해방된 최초의 인식이 바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라는 코기토 명제이다. 데카르트는 코기토 명제를 진리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이것만큼 맑고 또렷하게 지각되는 것만을 참된 것으로 인정함으로써 존재의 질서에 기반을 두고 있던 이전의 형이상학을 인식의 순서에 맞추어 새롭게 정비하고자 했다. 근대 이후의 철학을 ‘존재론’이 아닌 ‘인식론’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러한 까닭이다.

데카르트가 인식의 순서에 따라 철학을 했다는 것은 그의 신 존재 증명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그는 신앙 없는 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이 증명을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의식의 입장에서 신의 실존을 의심할 수 있었기에 다시 의식의 입장에서 그것을 증명했다.

그는 여러 신 존재 증명 방식을 인식의 순서에 따라 재검토한 끝에 어떤 것은 개조하고(인과론적 증명) 어떤 재활용했으며(존재론적 증명) 남은 것은 폐기했다(목적론적 증명).

데카르트가가 보기에 인간의 지성이 다룰 수 있는 대상이자 한계는 자신의 지각과 의식이며, 이러한 지각의 순서를 따르는 것이 인간이 자아, 세계, 신에 관해 철학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데카르트는 철학자로서《성찰》을 저술했으며, 그 밖의 길은 신앙과 신학에 맡겼다.

데카르트는 참, 거짓을 가리는 이론적 판단을 지성이 아니라 ‘의지’ 아래 두었다. 유럽 철학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이러한 의지에 대한 강조는 방법적 회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 방법적 회의란 지성이 참으로 증명하고 긍정했던 모든 것을 한꺼번에 의심스러운 것들로서 철회하는 극단적 행위이다.

데카르트는 지성 자체에 이런 동력은 들어 있지 않다고 보아, ‘무한한’ 의지에 기대었다. 의지의 힘을 빌려 수학적 확실성은 물론 신의 본성과 실존까지 의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회의에도 흔들리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가장 확실한 진리로 삼겠다는 것이 데카르트의 핵심 전략이었다.


4. 모든 것을 의심하라, 그러나 의심할 수 없는 ‘생각하는 나’

데카르트는 이 책에서 신의 실존 및 영혼과 신체의 실재적 구분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 증명의 과정은 모든 것에 대한 의심에서 출발해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학문의 토대를 발견하고, 다시 이 토대에서 출발해 앞서 의심받았던 대상들을 의심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정신의 자기 성찰 과정이다. 각 성찰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성찰 - 학문에 확고부동한 무언가를 세우기 위해 모든 것을 뿌리째 뒤집어 최초의 토대를 발견하려는 데카르트의 원대한 계획은 모든 것에 대한 의심으로 시작한다. 정당한 근거에 따라 이전의 모든 진리, 곧 감각적 지각, 물체, 자연 과학 및 수학적 대상, 신의 본성과 실존까지 의심하며, 이후로는 이로부터 해방되는 것만이 진리로서 받아들여진다.

제2성찰 - 데카르트는 자신이 아직 의심하지 않은 것이 남아 있는지 한 번 더 검토한다. 그가 모든 것의 실존을 의심했고 또 모든 것이 실제로 의심스러웠다 하더라도, 그렇게 의심하고 있는 저 자신이 있다는 것은 의심할 수 없었다. 나의 실존은 언제 어디서든 참이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인가? 나는 오직 생각하는 것이며, 나의 정신은 오직 지성으로써 인식된다.

제3성찰 - 자아의 깨달음을 얻은 데카르트는 모든 외적인 것들을 차단한 채 순수한 자아 속으로 침잠해 자신을 다시 검토한 뒤 “내가 더없이 맑고 또렷하게 지각하는 모든 것은 참”이라는 진리의 일반 규칙을 수립한다. 그리고 뛰어난 능력을 지닌 악령이 자신을 속이고 있다는 가정을 마주하지만, 인과론적 신 존재 증명을 통해 신의 실존을 증명하고 모든 암흑을 걷어낸다.

제4성찰 - 신이 속지 않도록 창조한 나의 정신이 왜 실수를 하고 오류에 빠지는지를 해명한다. 오류나 실수는 부정적인 것이며 헛것이기 때문에 신은 이것들의 원인이 아니다. 오류는 내가 의지를 지성의 범위 안에 묶어놓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오류의 원인은 자유의 오용에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찰을 반복함으로써 오류에 빠지지 않는 습관을 얻어야 한다.

제5성찰 - 나의 몸과 남의 몸, 물체들의 본성을 묻는다. 이 물질적인 것들의 본성, 예컨대 크기, 형태, 운동 등은 맑고 또렷하게 지각되기 때문에 진리의 규칙에 따라 참된 것으로 간주된다. 물질적인 것은 본성상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는 우연한 실존을 지닌다. 반면 신은 본성상 모든 완전성을 지니고, 실존은 하나의 완전성이기 때문에 신은 본성상 실존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신은 필연적으로 실존한다.

제6성찰 - 우연적 실존을 지니는 물질적인 것들의 실존은 우리의 감각을 통해 확인된다. 감각 관념은 내 밖에 실존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 정신과 신체는 실재적으로 구분되지만 뇌 속의 특정 부위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오류는 의지의 오용 때문에 일어나기도 하지만, 정신이 신체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나기도 한다. 오류의 모든 원인이 밝혀졌으므로, 외적 감각들을 마주할 때도 속지 않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꿈과 깨어 있음 사이도 헛갈리지 않는다. 

Acerca del autor

예수회 학교에서 프랑스어, 라틴어 문법, 그리스-로마의 수사학, 논리학, 윤리학, 자연 철학, 수학, 형이상학 등을 공부했고 대학에서는 법학을 공부했다. 학교를 떠난 후에는 약 3년간 네덜란드와 독일 지역에서 군 생활을 하며 북유럽 여러 지역을 여행했다.

이후 찾아간 파리에서는 예술, 과학, 종교, 철학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상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는 이런 파리를 떠나 사상적으로 개방되어 있던 네덜란드로 이주해 약 20년간 머물며 주요 저술들을 집필했다.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의 지동설을 지지하는 내용의 저작《세계론》은 갈릴레오가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출판 계획이 철회되었다.

그 대신에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방법론을 비판하고 자신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프랑스어 저작《방법서설》을 출판했다. 이후 이 방법이 의존하는 제일원리를 ‘생각하는 자아’로서 확고히 제시한《성찰》을, 철학을 비롯한 자신의 학문적 성과들을 집대성해 교과서 형식으로 집필한《철학의 원리》를 출판했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철학’이 네덜란드의 대학들에서조차 금지되자 그는 스웨덴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대를 받아들여 그곳으로 이주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거기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사후에 그의 편지 모음과 함께《음악 개론》,《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자연의 빛에 의한 진리 탐구》,《영혼의 정념》,《프로그램에 대한 주석》등이 출판되었다.

자신의 당대부터 뜨거운 찬반 논쟁을 불러왔던 데카르트는 이후 철학을 비롯한 모든 학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의 역사에서는 근대의 출발점으로, 철학사에서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다.

청소년과 시민을 위한 인문학 교육을 연구·실행하는 ‘인문학교육연구소’(www. paideia. re. kr)의 소장직을 맡고 있다. ‘교육공간 오름’ 등에서 청소년들과 인문학 공부를 함께 하고, 대학에도 출강하면서 고전 번역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철학 공부를 하는 중 민예총 문예아카데미의 간사, 팀장으로 활동했고 ‘학교 밖 청소년과 함께 하는 인문학 교실’(학벌없는사회, 경희대 공동주관)에 연구원으로 참여했으며, 독일로 연구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주된 관심사는 중세 말과 르네상스 시기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어떻게 근대의 합리주의자들에게 이어졌는지를 추적하는 것이며, 이런 생각들의 단초들을 고대 헬라스인들 사이에서 발견하기를 즐긴다. 최근에는 서양미술사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슈테판 츠바이크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프로이트를 위하여》, 베네딕투스 데 스피노자의 《데카르트 철학의 원리》를 번역했고 〈스피노자의 《데카르트 철학원리》(1663) 연구 (1)ㅡ〈서론〉에서 ‘신 증명’과 ‘순환논증’의 문제〉, 〈방법적 회의는 어떻게 가능한가ㅡ데카르트의 판단-의지 이론에 관한 연구〉, 〈칸트의 이론철학과 형이상학의 문제ㅡ개념의 분석론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의 시도〉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Califica este libro electrónico

Cuéntanos lo que piensas.

Información de lectura

Smartphones y tablets
Instala la app de Google Play Libros para Android y iPad/iPhone. Como se sincroniza de manera automática con tu cuenta, te permite leer en línea o sin conexión en cualquier lugar.
Laptops y computadoras
Para escuchar audiolibros adquiridos en Google Play, usa el navegador web de tu computadora.
Lectores electrónicos y otros dispositivos
Para leer en dispositivos de tinta electrónica, como los lectores de libros electrónicos Kobo, deberás descargar un archivo y transferirlo a tu dispositivo. Sigue las instrucciones detalladas que aparecen en el Centro de ayuda para transferir los archivos a lectores de libros electrónicos compati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