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라스 쉬프가 들려주는 삶의 궤적과 음악의 본질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클래식 애호가들의 애정을 한 몸에 받는 안드라스 쉬프의 책이 국내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2017년 독일어로 출간되었던 이 책은 음악 저널리스트 마르틴 마이어와의 대화와 안드라스 쉬프가 그간 여러 지면에 발표한 에세이로 구성되었다. 대화 전반부는 음악 전반에 대한 쉬프의 깊이 있는 생각들로 채워져 있다. 그가 생각하는 좋은 레퍼토리, 더 나은 연주 연습에 대한 견해, 곡에 적절한 악기로 연주하는 것의 중요성, 실내악에 대한 애정, 젊은 음악가를 교육하는 일, 동시대 음악과 청중, 그리고 비평가에 대한 생각 등 쉬프의 음악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들이 그의 입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된다.
대화 후반부는 출생부터 현재에 이르는 쉬프 일생에 대한 문답이다. 올해로 70세가 된 그가 찬찬히 그리고 담담하게 회고하는 이야기에서는 헝가리에서 경험한 반유대주의와 공산주의 통치에 대한 경험부터 팔 카도사나 라도스 페렌츠와 같은 마에스트로들과의 음악 훈련, 고향을 떠난 후 망명객 신분으로 새롭게 시작한 서방에서의 고된 연주 생활 등 그동안 우리가 듣지 못했던 쉬프의 내밀한 속내 또한 펼쳐진다. 그가 들려주는 헝가리에서의 경험은 쉽게 접할 수 없던 2차 세계대전 이후 헝가리의 사회 정치적 분위기를 가늠하게 하며, 위대한 작곡가와 연주가를 배출한 헝가리 음악교육 체계와 문화적 분위기를 엿보게 한다. 이 책을 통해 시대의 한계와 제약 속에서도 묵묵하게 자신의 길을 걸어온 한 피아니스트, 그리고 한 사람의 여정을 찬찬히 따라가 보자.
1953년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유대인 부모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다섯 살에 처음 피아노를 시작했고 프란츠 리스트 아카데미에서 팔 카도사, 죄르지 쿠르탁, 페렌츠 라도스 등에게서 배웠다. 쳄발리스트 조지 말콤 또한 쉬프에게 많은 가르침과 영향을 주었다. 바흐 해석의 거장으로 명망 높은 쉬프는 이외에도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만, 버르토크 등의 작품 해석과 연주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특히 2004년 이후로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 전곡을 연대기순으로 공연하는 프로젝트를 여러 도시에서 진행했고, 2007년에는 마르틴 마이어와의 대담집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들과 그 해석』이 본 베토벤하우스에서 출간되었다. 자신의 실내악 오케스트라인 카펠라 안드레아 바르카를 1999년에 창단, 솔리스트는 물론 지휘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 밖에도 오스트리아의 몬트제 페스티벌(1989~1998), 스위스의 이팅엔 페스티벌(1995~2013) 등을 이끌었고 1998년 이후로 이탈리아 비첸차 테아트로 올림피코에서 팔라디오에 대한 오마주 연주회를 열고 있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독일 문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독일 문학 속의 음악과 관련한 주제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바그너 읽기─트리스탄, 장인가수, 파르지팔』을 썼고, 옮긴 책으로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트인 데로 가는 길』, 로베르트 발저의 『타너가의 남매들』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미디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유럽언어문화학부 독일언어문화 전공에서 일하고 있다. 『영화분석의 기초개념』(2017), 『2000년 이후의 독일영화』(2021)를 집필했으며,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2013) 등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