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제목 “엉터리 저울추”는 얼핏 상인들이 늘 사용하는 그 엉터리 저울추를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확하게 무게를 재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고려한다면 도량형기 검정관의 저울추, 다시 말해서 그의 이상적인 척도가 엉터리다. 정확하게 무게를 재는 것이 무의미한 것은 그것이 가난한 상인들에게서 생존의 토대를 빼앗아 가기 때문이다. 이 작품에서 알코올중독자와 사기꾼들의 사회에 대한 비판보다는 법에 대한 비판에 더 무게가 실려 있다는 것은 엉터리 저울추에 희생된 자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아이벤쉬츠는 그 지역에서는 드물게 그리고 지나치게 법을 준수함으로써 상인들 사이에서 해롭고 위험한 사람으로 분류된다. 새로운 검정관이 오기 전에 그 사회는 나름대로 불화 없이 사이좋게 살아왔지만, 새롭게 이 사회에 편입된 검정관은 그 속에서 스스로 소외된다. 이런 아이벤쉬츠의 성격에 배경이 되는 것은 그가 하급 장교로서 다년간 활동함으로써 지니게 된 군인적 태도다. 그러나 법적인, 그리고 도덕적인 엄밀함이라는 이상은 그릇된 것이며 심지어는 우스꽝스럽기도 하다는 것이 밝혀진다. 왜냐하면 아이벤쉬츠가 공적인 업무뿐만 아니라 사적인 일을 처리하면서 보여 준 태도는 공무원이 세심하게 양심적으로 일을 계획하는 것과 같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감정이 깨어나는 것은 잠시 후 주점 주인 야틀로브커의 애인 예우페미아를 만나게 되면서부터다. 그는 마치 눈을 처음 뜨는 것처럼, 여자를 처음 보는 것처럼 그렇게 그녀를 느낀다. 그에게 관능적 요소는 자연스러운 것, 즉 인간의 본성에 속한 것이 아니라 타락의 신호이자 성향이다. 그는 갑자기 자신이 “부서지고 흔들리고 붕괴될 것 같은 집”처럼 느껴진다. 인간이 자유롭게 죄를 짓기로 또는 죄에 반대하기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오류임이 드러난다. 그래서 정확한 저울추에 대한 요구는 적절치 못한 것이 되고, 저울추를 꼼꼼하게 검사하는 것은 엉터리 저울추를 근거로 하는 것이 된다. 단지 법이기 때문에 시행되는 법은 인간에게 기여하지 못하고 인간을 희생자로 만든다.
검정관은 감옥에서 도망친 야틀로브커의 복수심으로 인해 돌로 살해된다. 그는 죽어 가면서 최후의 심판과도 같은 광경을 체험한다. 그것은 전에는 자기가 재판을 했지만 이제 재판을 받는다는 것이며, 다른 말로 하면 그가 전에 사용한 그 척도로써 자신이 판단된다는 것이다. 그의 양심은 그 자신이 그의 척도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는 엉터리 저울추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엉터리 저울추들 중의 하나로 간통을 그의 도덕적인 불완전함의 상징으로 들 수 있을지 모른다. 물론 죽어 갈 때의 환상 속에 여성은 등장하지 않는다. 결정적인 것은 그의 죄가 올바른 저울추를 위한 척도를 너무 높게 잡았다는 것이다. 절대적인 타당성을 갖는 인간적 척도는 없다. 그래서 아이벤쉬츠는 대검정관으로부터 유죄판결을 받음과 동시에 무죄판결을 받는다. 즉 그의 저울추는 역설적으로 엉터리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것으로 간주된다.
“법은 법이다”라는 피오트라크의 말에서 잘 드러나는 법조문의 자구(字句) 중심주의는 대검정관의 “업무는 업무다”라는 통렬한 비판에 의해 무력화된다. 죽음을 목전에 두고서 검정관이 아닌 상인으로의 역할 교체를 통해서 비로소 아이벤쉬츠는 자기 자신의 저울추가 엉터리라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끝내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복수를 노리던 야틀로브커에게 살해당한 아이벤쉬츠의 비극적인 생애는 히틀러를 피해 고향을 떠나 호텔을 전전하며 글을 쓸 수밖에 없었던 유대인 작가 요제프 로트의 불안정한 현존재를 여실히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