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많이, 지나치게 자주 아파하는 나를 위한 최소한의 방어막, 자기합리화
감정적인 상처와 육체적인 한계, 사회적인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사회에서 고통은 감내해야만 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소한의 방어막도 없이 모든 화살을 맞아내며 고통을 참는 것은 잘못됐다. 스스로의 부족하고 가녀린 부분을 조용히 감싸주고 안아주는 일, 그로 인해 내 삶의 값어치를 더 높게 쳐주는 일, 그것이 바로 자기합리화다. 이 책은 습관적인 자책보다는 ‘자기합리화’라는 방어와 수비를 통해 더 나은 나를 만드는 지름길을 알려준다.
저자 : 이승민
민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 전임의를 거쳐 강북삼성변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에 근무했다. 막연하게 의대에 진학하고, ‘굶어죽기 딱 좋다’는 우려 속에서 정신과를 전공으로 선택했다. 현재의 자리로 오기까지 여러 선택의 순간을 거쳤으나 무엇 하나 쉽지 않았고 수시로 고민과 후회를 반복했다. 그럴 때마다 힘이 되어준 것은 ‘합리화’였다. 누구도 내 선택을 긍정하지 않고 나조차도 자신의 행동을 납득하기 어려울 때, 내 선택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었고 이렇게라도 하지 않았으면 상황은 더 나빠졌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위로해왔다.
상담실에 들어서서 끊임없이 자신을 자책하는 환자들을 보며, 모든 것이 당신의 잘못일 수는 없다고, 자신을 조금만 더 보듬었으면 좋겠다고, 위로하고픈 마음에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2014년, 쓸데없는 비난과 관계의 상처에 흔들리지 않는 마음의 처방전 『상처받을 용기』를 출간해 큰 반향을 얻었으며, 이후 진료와 강연들을 통해 독자들을 만나고 있다. 직장인 록 밴드 보컬로 무대에 오르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고 있으며, 지구는 다 보고 죽고 싶다는 좌우명은 불변의 상태로... 유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