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은 논리적 사고를 기르기 위해 필요하고, 과학은 자연현상의 근원이며, 영어는 세계화의 필요로 필요하고, 체육은 건강한 생활을 위해, 경제와 사회, 미술, 음악은 우리 생활과 밀접하기 때문에 역사는 과거에서 배우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런데 문학은 어디에도 쓸데가 없는 것 같습니다. 도대체 문학은 왜 필요할까요?
1. 먼저 문학이란 무엇인가가 필요합니다.
문학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소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인간과 사회를 진실 되게 묘사하는 예술입니다. 쉽게 말하면 언어를 통해 인간의 삶을 미적으로 형상화한 것입니다. 문학은 사실 문예(文藝) 부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 탐구하는 학문의 명칭 역시 문예학으로, 문예학은 음악사학, 미술사학 등과 함께 예술학의 핵심 분야로 인문학의 하위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2. 문학을 분류해보자.
전달 수단이 말인 구전 문학과 문자에 의한 기재문학 문체가 틀에 박힌 율문과 그렇지 않은 산문내용이 현재형으로 주관적 내용을 표현한 서정문학 과거형으로 객관적 내용인 서사문학 과거의 사건이 현재형으로 표현되며 동작과 회화에 의한 극문학 서정적과 서사적의 중간에 위치한 일기, 수필, 시론, 비평 등을 자조문학 자기의 상상을 기초로 하는 창작과 창작된 작품의 가치를 논하는 평론 이에 문학의 사이트는 문학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자 합니다.
근대문학부터 현대문학 그리고 미래문학을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문학의' 사이트와 구글 앱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literary.co.kr
구글 앱 문학의
4편의 전체 줄거리는 가난한 삶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가난해서 아이를 가지지 못한 부부, 가난해서 아이를 병원에서 낳지 못한 부부, 그리고 가난해서 속옷 하나 제대로 챙겨입지 못한 학생.
그들은 우리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함께 살고 있습니다.
죄
선장 경훈 그의 운명은 속수무책이었다. 그렇게 재산을 잃고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부인을 살리려 노력한다.
실패한 사람에게 너그럽지 못한 우리사회를 꼬집는 작품.
기적같은 하루
변변한 산부인과 하나 없는 시골, 임신한 자신의 부인을 위해 산파할머니를 모셔오는데...
쥐꼬리만한 월급으로는 산후조리원의 문턱도 턱 없이 높다.
고령화 시대 출산을 장려하는 한국 사회를 꼬집는 작품.
만년셔츠
홀 어머니와 살고 있는 창남이 그러나 그는 밝고 활발하다. 너무 활발하여 주변에 친구와 선생님들 조차 창남이가 가난한 줄을 몰랐다.
물질의 가난이 영혼을 메마르게 하지 않는다.
조부호
전자책을 잘 만드는 전문가로 다양한 문학 작품을 통해 세상을 알리고 싶은 젊은 작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