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러 매체 및 책자를 통하여 제조핵심 기술이자 경쟁력 강화의 방안으로 PLM((제품수명주기관리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으나 PLM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 및 소개가 필요했었다. 이 책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했다.
전세계적으로도 PLM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고 있으나 이를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의 발간은 ‘가뭄의 단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 PLM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배경
최근에 자동차, 전자 등을 비롯한 국내기업의 제조 경쟁력은 세계의 선두기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세계 초일류 기업이 되기 위하여 신제품 개발, 고품격 제품 혁신, 글로벌 개발․생산 체제, 개발․생산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세계적 제조기업의 변화는 제품 개발 중심의 생산 체제 및 협력적 글로벌 생산 합리화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제조환경 변화에 따른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PLM(제품수명주기관리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의 역할이 제조기업의 핵심기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동안 제조기업은 ERP(전사적자원관리), SCM(공급망관리) 등을 추진해 왔는데 이제는 고객만족의 핵심이 되는 제품 디자인 및 특성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제품의 정보관리가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제품개발을 위한 지식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접근을 위해서는 제품의 3D 정보를 바탕으로 한 PLM, 즉 설계, 생산, 공급, 운용, 서비스 등이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스타일링, 3D 모델링, 디지털 매뉴팩처링, 매스 커스터마이제션, 고객 협업 등의 Product Life Cycle 지원 툴들이 글로벌 환경에서 통합․공유되어져야 하며, 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정보와 시스템이 필요하다.
3. 이 책의 주요 내용
국내 제조업계의 PLM 활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PLM Guide Book>은 PLM의 정의와 이해, PLM 시장의 트렌드, PDM 솔루션 소개, PDM 시스템 구축 사례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책에는 30여개 업체, 30여명의 국내 제조업계를 대표하는 필자들이 대거 참가했다.
감수를 맡은 KAIST 서효원 교수는 국내 PDM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가이며, 서울대 신종계 교수, 조선대 도남철 교수, 그리고 PTC코리아, UGS코리아, 매트릭스원코리아, SAP코리아, 한국아이비엠 등 각 벤더사에서 기고를 하였으며, 세계적인 PLM 전문 컨설턴트 회사라고 할 수 있는 CIMdata, 다라테크, DH Brown의 컨설턴트들의 발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