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 그래픽 노블

· 민음사
Libro electrónico
360
Páginas

Acerca de este libro electrónico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출간 70주년 기념!

『파리대왕』초판을 펴낸 Faber&Faber사가 기획한 아메 데용의 그래픽 노블 원작과 동시 출간

"『파리대왕』은 페이지 밖으로 강한 손을 뻗어 내 목을 움켜쥔 첫 번째 책이다. 이후 50년 이상 이 책에 관해 생각해 왔다."

Descubrir más

Acerca del autor

윌리엄 골딩(William Golding)

1911년 영국 콘월에서 태어났다. 말버러 그래머스쿨과 옥스퍼드 대학교 브래스노스

칼리지를 졸업했다. 작가가 되기 전까지 배우, 소형 선박의 선원, 클래식 연주자, 학교

선생님 등으로 일했다. 1940년 영국 해군에 입대, 이후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노르망디 상륙작전, 네덜란드 해방작전 등에 참전했다. 『파리대왕』은 골딩의 첫 소설로,

여러 출판사에서 거절당했으나 파버 출판사의 퇴짜 원고 더미에서 발굴돼 1954년 출판에

이르렀다. 오늘날 손꼽히는 모던 클래식으로 수백만 부가 팔렸고, 1963년 피터 브룩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으며, 44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골딩은 『파리대왕』 외에 『피라미드』,

『상속자들』, 『핀처 마틴』 등 11편의 장편 소설, 1편의 희곡, 2편의 산문집을 펴냈다.

1980년 『통과의례』로 부커상을 수상했고, 198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88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생애의 대부분 기간을 솔즈베리 인근 월트셔에 살다가, 1985년 아내와 함께

고향 콘월로 돌아왔다. 1993년, 자택에서 세상을 떴다.



아메 데용(Aimée de Jongh)

1988년 네덜란드 남부, 발베이크에서 태어났다. 윌렘 드 쿠닝 예술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했다. 데뷔작 『벌매의 귀환(The Return of the Honey Buzzard)』으로 생미셸상을

수상했고, 이후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 문제를 강렬한 그림과 통렬한

이야기로 묘사한 데용의 책들은 비평가 다수의 찬사와 더불어, 프랑스, 미국, 일본 등에서

상을 받았다. 만화계의 오스카로 일컬어지는 아이즈너상 후보에 꾸준히 지명되고 있다.

그래픽 노블 작품으로 『가을에 꽃피다(Blossoms in Autumn)』, 『택시!(TAXI!)』, 『예순 살의

겨울(Sixty Years in Winter)』 등이 있으며, 특히 『모래의 날들(Days of Sand)』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로테르담에 살면서 만화를 그리고 있으며, 애니메이터, 교사, 일러스트레이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Califica este libro electrónico

Cuéntanos lo que piensas.

Información de lectura

Smartphones y tablets
Instala la app de Google Play Libros para Android y iPad/iPhone. Como se sincroniza de manera automática con tu cuenta, te permite leer en línea o sin conexión en cualquier lugar.
Laptops y computadoras
Para escuchar audiolibros adquiridos en Google Play, usa el navegador web de tu computadora.
Lectores electrónicos y otros dispositivos
Para leer en dispositivos de tinta electrónica, como los lectores de libros electrónicos Kobo, deberás descargar un archivo y transferirlo a tu dispositivo. Sigue las instrucciones detalladas que aparecen en el Centro de ayuda para transferir los archivos a lectores de libros electrónicos compati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