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의 등장과 빠른 확산 속에서 개인과 국가, 기업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이를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인공지능지수(AI Index)가 개발되고 있다. 이 책은 인공지능 역량, 준비도, 윤리성, 민주적 가치 등의 측면에서 AI 지수를 분석하며, 국가별·기업별 AI 준비 상태를 비교하고 인공지능 시대를 대비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스탠포드 AI 지수, 정부 AI 준비 지수, 글로벌 AI 지수, IMF AI 준비 지수 등 주요 AI 지수를 소개하며, 한국의 인공지능 경쟁력을 진단한다.
AI는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을 이끄는 동시에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실업 등의 도전 과제를 동반한다. 따라서 책임감 있는 AI 지수, AI와 민주적 가치 지수와 같은 윤리적 측면을 평가하는 지수도 중요하다. 이 책은 AI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 기업, 정책 입안자가 인공지능 역량을 높이고, AI가 초래할 기회와 위험을 대비할 전략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가이드를 제공한다.
정용찬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ICT통계정보연구실 선임연구위원, OECD 인공지능지수 전문가그룹(Expert Group on OECD AI Index) 위원이며, 고려대 정책대학원 데이터통계학과 겸임교수다. 현재 국무총리직속 사회보장위원회 행정데이터전문위원회 위원이며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다양성위원회 위원, 한국언론학회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연구회 회장이다. KISDI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AI데이터융합연구실장, 미래예측분석센터장, 국가통계위원회 데이터분과위원, OECD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 디지털경제측정분석작업반 부의장을 역임했다. 고려대학교 통계학과와 대학원에서 통계학 학·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DNI컨설팅 이사, 방송위원회 연구센터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문화관광부,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영화진흥위원회, 정보화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출판문화산업진흥원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 『마이데이터와 법』(공저, 2022), 『데이터법 이해』(2021),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2020), 『통계법의 이해』(2019), 『생각이 크는 인문학 15. 빅데이터』(2018), 『빅데이터』(2013), 역서로 『인공지능 아는 척하기』(2021) 등이 있다. 연구보고서로 “ICT 데이터플랫폼 구축·운영사업”(2024), “데이터기반 미래예측·정책지원 모델연구 IV”(2023), “데이터 경제와 데이터 중립성”(2022), “미중 데이터 패권 경쟁과 대응전략”(2021)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