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마이클 크레머 추천*
함께 행복해지기 위한 사회의 조건에 대하여 삶이 묻고 경제학이 답하다
임신했을 때, 실직했을 때, 몸이 아플 때, 집이 없을 때, 경제학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의사이자 경제학자가 전하는 삶과 사회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법
엄마 배 속에서 무덤까지, 생애주기에 필요한 보건·교육·노동·돌봄 및 복지 정책을 아우르는 생활밀착형 경제학.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경제학과·정책학과 김현철 교수가 제안하는 행복 사회의 조건. 의사가 질병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의학적 근거에 따라 처방·치료하는 것처럼, 당위와 직관이 아닌 실험과 데이터로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조언하며, 가난과 불행의 덫에 걸린 국민의 생존과 행복을 위해 경제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의사이자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묻고 답한다.
의사이자 경제학자.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경제학과·정책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로 활동하다가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및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코넬대학교 정책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의사 시절 사회의 약자들이 더 많이 아프고 더 많이 죽어가는 현실을 목도하고 건강 불평등의 문제가 사회·경제적인 문제임을 깨닫고는 진료실을 나와 현장에서 실험하고 공공 정책을 연구하는 경제학자로 변신했다. 대한민국뿐 아니라 말라위, 에티오피아, 가나, 그리고 인도, 필리핀, 부탄, 홍콩 등지를 누비며 다양한 정책을 분석했다. 말라위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들이 고등학교 진학 후 성년이 될 때까지 삶을 추적해, 교육이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한 공동 연구는 <사이언스>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