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봉건 사회를 향한 재기발랄한 불온함을 보여주는 인물이 등장하는 두 편의 고소설을 담았다. 시대의 변혁을 꿈꾼 영웅과 악동의 이야기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이 바로 그것이다. 역사적 실존 인물이자 사회 혹은 체제 바깥에 위치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은 이 두 작품은 도술이라는 환상적 상상으로 현실비판 의식을 보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출신에 의해 능력이 제한되는 사회적 현실의 맥락 속에서 서사적 긴장이 야기되는 『홍길동전』과 개인의 욕망 성취에 초점이 집중되는 『전우치전』은 시대를 넘어 오늘날까지 판타지와 사회 비판의 원천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책은 기획 기간만 5년일 정도로 심혈을 기울여 만든 한국고전문학 전집 시리즈 중 하나로, 고전의 이본들을 철저히 교감해 연구자를 위한 텍스트로 만들었을뿐 아니라 현대 독자들을 위해 살아 있는 요즘의 언어로 최대한 쉽게 풀어쓴 책이다. 독자를 위한 대중성과 연구자를 위한 전문성을 모두 획득하기 위해 현대어역과 원본을 모두 실어 비교하며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이다. 주로 근대 이전의 한국 고전소설을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고전소설사의 거점』 등이 있고, 「영웅군담소설의 연구사적 조망」 「조선 중기, ‘욕망하는 주체’의 등장과 ‘소설’의 기원」 등의 논문이 있다.